Q
2025-09-12 11:38:41시중 판매가보다 비싼 MOU 체결가
모 기업에 재직중인 직장인입니다.
이번에 저희 회사랑 한 매장(핸드폰, 타이어, 병원 등등이 될 수 있는)과 mou를 맺었습니다.
mou를 맺었으면 당연히 시중가보다 더 싸게 판매 진행되어야 하는데
오히려 인터넷에 쳐보면 나오는 가격보다 더 비싸게 체결된 금액을 협상이라고 맺어왔습니다.
저희 회사를 욕하는것은 아니나 비하인드 스토리를 모르겠거니 하면서 이해하는 중입니다.
시중 판매가보다 비싸게 책정될거면 뭐하러 mou를 맺는건가요?? 왜 맺는건가요 무엇을 위해서??
정말 궁금합니다. 인터넷에 쳐보기만 해도 mou체결가가 더 비싼것이 당장 확인 가능합니다.
우리 직원들이 바보도 아닌데 왜 mou를 맺은건지 궁금합니다.
A
Dr.s DiagnosisMOU 체결가가 시중 판매가보다 비싼 경우에 대해 궁금해하시는군요. 일반적인 생각으로는 MOU를 통해 더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어야 하지만, 현실에서는 그렇지 않은 경우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몇 가지 가능한 이유를 설명해 드릴게요.
1. MOU의 목적:
* 단순 협력 관계 구축: MOU는 법적 구속력이 없는 협약으로, 단순히 상호 협력 관계를 구축하는 데 목적을 둘 수 있습니다. 이 경우 가격 경쟁력보다는 장기적인 파트너십, 공동 마케팅, 기술 교류 등에 초점을 맞출 수 있습니다.
* 상징적인 의미: 기업 이미지를 제고하거나 특정 사업 분야에 진출하기 위한 상징적인 행위로 MOU를 체결할 수도 있습니다. 이 경우 가격 조건은 부차적인 요소가 될 수 있습니다.
2. 가격 책정 요인:
* 거래 조건: MOU에 명시된 거래 조건(수량, 결제 방식, 배송 조건 등)에 따라 가격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소량 구매 시에는 대량 구매보다 가격이 비쌀 수 있습니다.
* 부가 서비스: MOU를 통해 제공되는 부가 서비스(A/S, 교육, 컨설팅 등) 비용이 가격에 포함될 수 있습니다.
* 독점 계약: 특정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독점 공급 계약을 체결하는 조건으로 가격이 높게 책정될 수 있습니다.
3. 기타 고려 사항:
* 정보 부족: 담당자가 시장 조사를 충분히 하지 않았거나, 협상 과정에서 불리한 위치에 있었을 수 있습니다.
* 내부 정책: 회사의 내부 정책이나 규정으로 인해 특정 업체와 MOU를 체결해야 하는 상황일 수 있습니다.
* 리베이트: 겉으로는 가격이 비싸 보이지만, 실제로는 리베이트나 다른 형태로 이익을 얻는 구조일 수 있습니다.
예시:
* 병원 MOU: 회사와 병원이 MOU를 맺어 임직원 건강검진을 제공하는 경우, 검진 항목이 일반 건강검진보다 고급이거나, 대기 시간 없이 빠르게 검진을 받을 수 있는 등의 프리미엄 서비스가 포함되어 가격이 높을 수 있습니다.
* 타이어 MOU: 회사 차량에 특정 브랜드 타이어를 장착하는 MOU를 체결했을 때, 해당 타이어 제조사의 기술 지원, 안전 교육, 정비 서비스 등을 함께 제공받는 조건으로 가격이 높을 수 있습니다.
제언:
MOU 체결 과정에 대해 정확히 알 수 없으므로, 담당 부서에 문의하여 자세한 내용을 확인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회사의 손해로 이어지는 부당한 계약이라고 판단된다면, 감사 부서나 상급자에게 보고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