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2025-05-16 08:11:45

무정자증치료에 네비도 처방

무정자증 치료중인데 피검사시 유전자 멀쩡 암없고 뇌하수체는 자극호르몬이 많이 나오고 있으며 남성호르몬이 1.3이고 무정자증이 나왔습니다. 초음파도 정상이었구요 그리고 무슨 주사를 맞았는데 3개월 후에 2.8로 올랐어요 남성호르몬 근데 분명 무정자증 치료였는데 3개월 후인 이번에 맞은 주사는 네비도를 맞았어요 이러면 정자생성과 남성호르몬 생성기능에 문제가 된다는데 왜 이런 치료를 하는거죠? 이게 맞는 방법입니까?

A
Dr.s Diagnosis
무정자증 치료 과정에 네비도를 처방받으신 상황에 대해 궁금하시군요. 몇 가지 가능성을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1. 남성호르몬 수치 교정: * 낮은 남성호르몬 수치의 영향: 남성호르몬은 정자 생성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남성호르몬 수치가 낮으면 정자 생성 능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 네비도의 역할: 네비도는 남성호르몬을 보충하여 혈중 남성호르몬 농도를 정상 범위로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남성호르몬 수치가 정상화되면 정자 생성 기능이 개선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 예시: 만약 남성호르몬 수치가 1.3에서 2.8로 상승했다면, 네비도가 남성호르몬 수치를 높이는 데 효과가 있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2. 뇌하수체 기능 자극: * 뇌하수체 자극 호르몬의 역할: 뇌하수체에서 분비되는 자극 호르몬은 고환을 자극하여 남성호르몬과 정자 생성을 촉진합니다. * 네비도의 간접적인 효과: 네비도는 직접적으로 뇌하수체를 자극하지는 않지만, 남성호르몬 수치를 정상화함으로써 뇌하수체의 기능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도울 수 있습니다. * 예시: 뇌하수체 자극 호르몬이 많이 분비되고 있음에도 남성호르몬 수치가 낮았던 경우, 네비도를 통해 남성호르몬 수치를 높여 고환이 정상적으로 기능하도록 유도할 수 있습니다. 3. 무정자증의 원인 파악: * 네비도 투여 후 반응 관찰: 네비도를 투여한 후 남성호르몬 수치 변화와 정자 생성 여부를 관찰함으로써 무정자증의 원인을 파악하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예시: 네비도 투여 후 남성호르몬 수치가 정상화되었음에도 정자가 생성되지 않는다면, 다른 원인(예: 고환 자체의 문제, 정관 폐쇄 등)을 고려해야 합니다. 주의사항: * 전문의와의 상담: 네비도 처방 이유와 치료 계획에 대해 담당 의사에게 자세히 문의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 부작용 가능성: 네비도는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의사의 지시를 철저히 따르고 이상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알려야 합니다. * 정기적인 검사: 남성호르몬 수치, 정자 생성 여부 등을 정기적으로 검사하여 치료 효과를 평가하고 부작용 발생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결론: 네비도 처방은 무정자증 치료의 한 방법일 수 있지만, 모든 환자에게 적합한 것은 아닙니다. 담당 의사와의 충분한 상담을 통해 본인에게 맞는 치료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