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2025-06-12 09:46:50

어깨 통증 증상 및 병원 추천

어제부터 어깨 안에서 뭔가 끊어지는 듯한 느낌이 간헐적으로 들면서 통증이 심합니다.그저께 밤에 머리 감다가 어깨를 삐끗했나 싶은 느낌이 들긴 했습니다만, 그 뒤로 괜찮았는데어제 갑자기 손에 조금 힘을 주는데 어깨가 엄청 아프더라고요.그래도 활동은 되고 어쩌다가 아픈 걸로 봐서 뼈는 아니고 힘줄이나 그런 쪽 아닐까 싶은데...

어릴 때 부터 발목, 골반, 손목 같은 관절 부위가 안 좋았고,어깨도 돌리면 뚝, 뚝 소리가 자주 나곤 했습니다만이렇게 아픈 건 처음이라 당황스럽습니다.

두 달쯤 전에 손목이 아파서 통증의학과 방문했었고인대가 늘어나서 주사 맞고 찜질? 같은 거 했던 것 같은데 그거랑 관련 있을까요?

아 그리고 컴퓨터를 많이 쓰는 직업이고 피아노도 자주 칩니다.

혹시 어떤 유형의 병원을 가면 좋을지 알려주실 분 계신가요?가능하면 대구 내에 괜찮은 병원도 추천해주시면 좋겠습니다.

A
Dr.s Diagnosis
## 어깨 통증에 대한 의학적 조언 및 병원 추천 안녕하세요. 어깨 통증으로 걱정이 많으시겠네요. 겪고 계신 증상과 과거 병력, 생활 습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몇 가지 의학적 조언과 병원 선택에 대한 가이드를 드리겠습니다. ### 1. 증상 분석 * 어깨 안에서 끊어지는 듯한 느낌: 이는 힘줄이나 인대의 손상, 혹은 어깨 관절 내부 문제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어깨를 삐끗한 후 발생했다는 점에서 더욱 가능성이 있습니다. * 간헐적인 통증: 초기에는 통증이 간헐적으로 나타나지만, 방치할 경우 만성화될 수 있습니다. * 관절 불안정성: 어릴 때부터 발목, 골반, 손목 등 다른 관절 부위가 안 좋았고, 어깨에서 소리가 나는 것은 관절의 불안정성을 시사합니다. 이는 어깨 통증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 손목 치료와의 연관성: 2달 전 손목 치료가 직접적인 원인이라고 단정하기는 어렵지만, 전신적인 관절 문제를 고려해야 합니다. ### 2. 가능한 원인 * 회전근개 파열: 어깨를 움직이는 4개의 힘줄(회전근개) 중 하나 이상이 파열되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머리를 감다가 어깨를 삐끗한 경험이 있다면 더욱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 어깨 충돌 증후군: 어깨뼈와 힘줄 사이에 공간이 좁아져 마찰이 생기는 질환입니다. 팔을 들거나 회전할 때 통증이 심해질 수 있습니다. * 견봉쇄골 관절염: 어깨와 쇄골을 연결하는 관절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입니다. 어깨 위쪽 부위에 통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관절와순 파열: 어깨 관절을 감싸는 연골인 관절와순이 손상되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어깨가 빠지는 듯한 불안정한 느낌이 들 수 있습니다. * 경추 질환: 목 디스크나 경추 협착증 등으로 인해 어깨 통증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컴퓨터 사용과 피아노 연주: 장시간 같은 자세를 유지하거나 반복적인 동작을 하는 것은 어깨 근육과 관절에 부담을 주어 통증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 3. 병원 선택 및 진료 * 정형외과: 어깨 통증의 가장 일반적인 진료과입니다. 엑스레이, MRI 등 영상 검사를 통해 정확한 진단이 가능하며, 물리치료, 주사 치료, 수술 등 다양한 치료 방법을 제공합니다. * 재활의학과: 통증 완화 및 기능 회복에 중점을 둡니다. 물리치료, 운동 치료, 도수 치료 등을 통해 어깨 주변 근육을 강화하고 관절의 움직임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 통증의학과: 통증 완화를 위한 주사 치료, 신경 치료 등을 전문으로 합니다. 손목 통증 치료 경험이 있으시므로, 어깨 통증에 대해서도 상담을 받아볼 수 있습니다. 대구 내 병원 추천 (참고용): 특정 병원을 직접적으로 추천하는 것은 어렵습니다. 다만, 대구 지역 내 정형외과, 재활의학과, 통증의학과 전문의가 있는 병원을 검색하여 후기, 전문 분야, 시설 등을 고려하여 선택하시기 바랍니다. ### 4. 자가 관리 * 휴식: 어깨를 최대한 사용하지 않고 휴식을 취합니다. * 냉찜질: 통증 부위에 15-20분씩 냉찜질을 합니다. * 스트레칭: 어깨 주변 근육을 부드럽게 스트레칭합니다. * 바른 자세: 컴퓨터 작업 시 바른 자세를 유지하고, 틈틈이 스트레칭을 합니다. ### 5. 주의사항 * 증상이 악화되거나 호전되지 않으면 반드시 병원을 방문하여 정확한 진단을 받으십시오. * 자가 진단이나 민간요법에 의존하지 마십시오. * 의사의 지시 없이 임의로 약물을 복용하거나 치료를 중단하지 마십시오. Disclaimer: 이 정보는 일반적인 의학적 조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