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2025-09-07 10:05:06

10 년 이상 매일 사다 먹어 전부는 아니지만 편의점 및 음식점 마다 상상을 초월한 잦은

제가 간헐적이 아닌 10 년 넘게 매일 삼식 세때 끼니를 나가서 사다 먹는데

먹다 보면 전부는 아니지만 대중 음식점이고 편의점이고 머리 카락 똥 파리 생선 포장 했었던 종이 그릇 실 뭉치 등 이물질이 빈번 하게 발견이 되어

이제는 도무지 않되어 관할 지자체에다 고발 조치 및 민원 제기 하게 하면

관할 지자체에서도 직접 증거 확정적 증거 및 위생법 위반 사항인데도 행정 처분 및 과태료를 하지 않을때가 많고 마중 못해 처분 합니다

그런데 제 같은 경우는 매일 삼식 세때 끼니를 10 년 넘게 나가서 사다 먹어

어떨땐 3 차 기관 응급실에 실려 갔었던 적이 한 두번이 아니어서 (이것 않 겪어 본 사람 모름 , 채소 보다 육고기 해산물 먹고 식중독 일으키면 거의 죽는다고 봐야 됨 휴유증도 남고 이후 10 년간 아무리 많이 먹어도 살도 잘 않찜 겁 남)

2002 년 9 월 , 2012 년 1 월 , 2015 년 1 월 말 등 거의 죽다 살아난 적이 (3 차 기관 대학 병원 응급실 진료 기록지 등 다 있음)

이제는 휴대폰을 사용 하는 척 하면서 개인 정보 보호법상 저만 나오게

휴대폰 등으로 동영상 촬영 및 녹음 하면서 먹어야 되고 (할짓이 아님) 무조건 고발 조치를 취합니다

그런데 어떤 제조업체 고객 센터에서는 어떤 고객은 법을 이리 저리 알아 보고서는 300 만원을 요구 하더라 면서 나중에 보험 회사 끼리 연결이 되어 있어

이번이 처음이 아니라 이 앞전에도 어떤 고발 건으로 합의금을 받은 이력이 있었다며 저를 아주 기분 나쁘게 빗대어서 말하는 것이었읍니다

하지만 저는 가끔씩 나가서 사다 먹는게 아니라 10 년 넘게 신용 카드로 매일 삼식 세때 끼니를 주문 및 사다 먹다 보면 (한달에 식대비만 평균 약 124 만원이 나옴)

그야말로 쓰레기 음식일때도 있고 누가 딱 봐도 확연하게

제가 악의적으로 조작 및 잡아 넣은 것이 아니라 가게 내부 cc 카메라 설치 되어 있고

확연하게 제 머리 카락이 아니다는 것을 (완전 곱슬 머리 임 , 이제는 나이 56 세에 머리 카락에 염색 하고 제 머리 카락이 아니다는걸 다닐까 싶음) 담당 지자체 공무원들도 인지 하게 되는데

이것이 사먹을때 마다 가끔씩이 아닌 1 년에 전부는 아니지만 식당이고 편의점이고 여러차례 발견 되는데

이럴때는 잦은 고발 조치 하게 되면 제가 법적으로 문제가 될수 있나요 (거짓말 탐지기 까지 동의 함)

고발 조차 않하게 되면 그럼 극심한 고통과 피해 당하고 살아야 되나요 이건 아니 잖아요

만약에 제가 조작 및 허위 사실 , 거짓이 아닌 사실의 적시 해서 진실일 경우

제가 심적 정신적 경제적 등 이중으로 고통 받기 때문에

제조원 및 판매처 , 사업주 , 고객 센터 , 등 무고죄 등 이것 마저 이젠 손해 배상 창구 등 진행 할까 싶어요

A
Dr.s Diagnosis
안녕하세요. 10년 넘게 매일 식사를 밖에서 해결하시면서 겪으신 어려움과 건강 문제에 대해 깊이 공감합니다. 식중독으로 응급실에 실려 가셨던 경험은 정말 고통스러웠을 텐데요, 다시는 그런 일이 없도록 몇 가지 의학적 조언과 함께 법적인 측면도 간단히 짚어드리겠습니다. 1. 건강 관리 * 식중독 예방: * 음식 선택 시 주의: 육류, 해산물은 특히 조리 및 보관에 신경 써야 합니다. 가능한 한 신뢰할 수 있는 곳에서 음식을 구매하고, 익히지 않은 음식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 개인 위생 철저: 식사 전에는 반드시 손을 깨끗이 씻으세요. * 보관 온도 확인: 음식을 포장해올 경우, 냉장 보관이 필요한 음식은 바로 냉장고에 넣고, 가능한 한 빨리 섭취하세요. * 증상 발생 시 대처: 만약 식중독 의심 증상(구토, 설사, 복통 등)이 나타나면 즉시 병원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으세요. * 장 건강 관리: * 유산균 섭취: 장내 유익균 증식을 돕는 유산균 제품을 꾸준히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 식이섬유 섭취: 채소, 과일, 통곡물 등 식이섬유가 풍부한 음식을 섭취하여 장 운동을 활발하게 하세요. * 규칙적인 식사: 매일 일정한 시간에 식사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장 건강에 도움이 됩니다. 2. 법적 문제 * 잦은 고발: 잦은 고발 자체가 법적으로 문제가 되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고발 내용이 허위 사실이거나 악의적인 의도를 가지고 있다면 명예훼손이나 업무방해 등의 혐의로 고소당할 수 있습니다. * 증거 확보: 이물질 발견 시 사진, 동영상 등 증거를 확보하고, 식당 내부 CCTV 영상이 있다면 이를 확보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식중독으로 병원 진료를 받은 기록은 중요한 증거가 될 수 있습니다. * 무고죄: 만약 제조사나 판매처에서 빗대어서 말하는 내용이 부당하다고 생각되면, 변호사와 상담하여 법적 대응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 손해배상: 식중독으로 인해 발생한 치료비, 정신적 고통 등에 대해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3. 추가 조언 * 식습관 변화: 가능하면 집에서 직접 요리해 드시는 것이 가장 안전하고 건강한 방법입니다. * 정신 건강 관리: 지속적인 문제 제기로 인해 스트레스를 많이 받고 계신 것 같습니다.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정신 건강을 관리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주의: 위에 제시된 내용은 일반적인 의학적 조언이며, 실제 진료를 대체할 수 없습니다. 반드시 의사 또는 수의사와 상담하여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받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