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2025-07-14 07:08:06링거 피역류 혈전검사 초음파
의사선생님 답변부탁드립니다.
간호사와 간호조무사들한테 직접 여러번 가서 링거 상태 보여드리면서 똑같은 링거액양90%,변함없는 피역류 상태,피역류 시간 등등 걱정되어서 계속 얘기했는데 간호사들과 간호조무사들이 말만하시고는 피역류 냅두면 된다면서 링거 저녁7시~다음날 아침까지 고의적으로 피역류 방치하셨어요.
저녁7시~다음날 아침에도 똑같이 링거액90%,없어지지않는 피역류.(냅두면 된다면서 방치하셔서 어쩔수 없이 제가 뜬 눈으로 핸드폰으로 시간체크 아침까지)
아침에도 똑같은 피역류 상태,링거액90%,피역류 시간,상황설명 얘기했는데 아침 간호조무사가 주머니에서 생리식염수 주사기를 꺼내서 링거에 넣고나서는 링거액이 90%에서 80,70,50,30…빠르게 줄어들었습니다.
피역류 혈전 생겼는지가 걱정이 되어서 다른 병원에 혈전 검사하러 갔습니다.
다른 병원에서 초음파 검사를 해주셨는데
초음파 검사했는데 주사 링거 주사 맞은 자리는 (아직도 링거 주사자국 있음)초음파상에 혈관이 보이지 않는다고 하셨습니다.초음파해주신 의사선생님은 혈관은 옆쪽에 굵은 혈관에 맞아야 하는거라고 얘기해주셨는데 그전 병원에 링거맞은 주사위치는 거긴 초음파상에 혈관이 없다고 얘기해주셨어요.
제가 여기서 궁금한점은 링거 주사 맞은 자리가 초음파상에 혈관이 보이지 않는데 그전 병원에서 링거 주사도 잘못 찌른건가요???
A
Dr.s Diagnosis걱정이 많으시겠어요. 링거 맞은 부위 피역류 때문에 불편함과 불안감을 느끼셨다니 안타깝습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 드릴게요.
1. 링거 피역류와 혈전 가능성
링거를 맞는 동안 피가 역류하는 현상은 종종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링거 바늘이 혈관 벽에 살짝 닿거나, 혈관 내 압력 변화 때문에 일시적으로 나타날 수 있어요. 하지만 피역류가 지속적으로 심하게 나타난다면 혈액이 응고되어 혈전이 생길 가능성이 있습니다.
* 예시: 링거를 맞다가 팔을 움직였을 때 바늘 끝이 혈관 벽을 건드려 피가 약간 역류하는 경우
2. 링거 주사 위치와 혈관
링거 주사는 일반적으로 팔의 정맥에 놓습니다. 이때, 눈에 보이는 굵은 혈관뿐만 아니라, 초음파로 확인해야만 보이는 작은 혈관에도 링거를 놓을 수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혈관에 정확하게 바늘을 삽입하여 약물이 제대로 주입되도록 하는 것입니다.
* 예시: 링거를 놓을 때 굵은 혈관이 잘 보이지 않아, 초음파를 사용하여 더 작은 혈관을 찾아 주사하는 경우
3. 초음파 검사 결과 해석
초음파 검사에서 링거 주사 부위에 혈관이 보이지 않는다는 것은 다음과 같은 가능성을 의미할 수 있습니다.
* 주사 위치 오류: 링거 바늘이 혈관이 아닌 다른 조직에 삽입되었을 가능성
* 혈관 손상: 잦은 링거 주사로 인해 혈관이 손상되어 초음파로 잘 보이지 않게 되었을 가능성
* 개인차: 사람마다 혈관의 위치와 크기가 다르기 때문에, 초음파로 확인하기 어려울 수 있음
4. 추가적인 조치
현재 다른 병원에서 혈전 검사와 초음파 검사를 받으신 것은 잘하신 선택입니다. 검사 결과에 따라 필요한 조치를 받으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만약 혈전이 의심된다면 혈액 응고를 막는 약물 치료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또한, 링거 주사 부위의 통증, 부종, 발적 등의 증상이 있다면 의료진과 상담하여 적절한 치료를 받으세요.
5. 병원 선택
앞으로는 링거 주사를 놓을 때 혈관을 잘 찾는 숙련된 의료진이 있는 병원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링거를 맞는 동안 불편함이나 이상 증상이 느껴진다면 즉시 의료진에게 알리세요.
주의: 이 답변은 일반적인 의학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며, 특정 환자의 상태에 대한 진단이나 치료를 대체할 수 없습니다. 반드시 의료 전문가와 상담하여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받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