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2025-06-20 15:09:45

갤럭시워치6 ECG 판독 문의

안녕하세요.

고령의 어머니께서 몇 년 전부터 가정용 혈압계로 측정시 비정상 맥파가 빈번히 감지가 되어서 당뇨와 고혈압으로 약 타러 다니는 내과 원장님께 말씀 드린후 ECG 검사를 했었는데 비정상 맥파는 관찰 되나 크게 걱정하거나 치료는 필요치 않다고 말씀 하시더군요.(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없었습니다)

그러다가 최근 갑작스럽게 편마비 증상이 발생 되면서 대학병원 신경과에 입원 검사를 진행하였는데 MRA 검사에서 작은 뇌경색 병변이 발생 되었지만 크기가 작으니 혈전치료제 처방을 받은 후 퇴원을 하게 되었습니다.

입원 당시 몇년전 부터 비정상 맥파가 계속 감지된다고 말씀드렸었고 입원하는 동안 하루에 한번씩 심전도 검사를 하였으나 모두 정상으로 나오다 보니 교수님께서 심전도는 정상이라고 말씀 하시더군요.(24시간 홀터 검사를 받고 싶었으나 검사 예약이 어려웠고 일반 심전도에서 정상이 나오다 보니 더 이상의 검사는 없었습니다)

그런데 제가 가지고 있는 갤럭시워치6로 ECG 검사를 해보면 거의 대부분에서 아래와 같은 검사 결과로 판정 불가 판정이 나오더군요.

대학병원에서는 심전도 검사에서 정상이라고는 하지만 집에서 갤럭시워치로 검사를 하면 매번 동일한 검사 결과가 나오니 여간 찝찝한 게 아닙니다.

어머니께서 최근 뇌경색도 왔었는데도 대학병원에서는 특별한 이상은 없고 혈전치료제만 처방해 주었고, 제가 자가 검사 할 때 마다 관찰되는 비정상 맥파에 대해서 물어봐도 뭐가 그리 바쁜지 입원실에서의 검사 결과가 정상이라는 말만 하면서 제가 궁금해서 물어 보는 것에 대해서는 설명을 안 해 주시네요.

그래서 이곳에서 갤럭시워치6로 ECG 검사 결과에 대해서 판독해 주실 분께 설명 부탁 드립니다.

1) 검사 기기 : 삼성 갤럭시워치6 ECG 기능 이용

2) 측정 목적 : -. 가정용 혈압계에서 빈맥 및 비정상 맥파가 빈번히 감지되어 -. 부정맥 여부를 자가 관찰하기 위해 ECG 기록을 남김

3) 관찰 내용 요약 : -. 집에서 혈압 측정시, 거의 매번 “비정상 맥파 감지“ 메시지 발생 -. 손가락으로 맥박을 촉진할 때도, 일정 간격으로 맥박이 빠지거나 느려지는 느낌 있었음 -. 갤럭시워치 ECG 상에서도 동일한 유형의 “불규칙한 심장 리듬"이 거의 매번 관찰됨

4) 검사 결과 (2건)

답변해 주시는 분께 감사드립니다.

A
Dr.s Diagnosis
안녕하세요. 어머님의 갤럭시 워치 ECG 판독에 대한 문의 주셨네요. 뇌경색 병력도 있으신 상황이라 걱정이 많으실 텐데, 제가 최대한 자세히 설명해 드릴게요. 1. 갤럭시 워치 ECG 결과에 대한 일반적인 이해 * 판독 불가: 갤럭시 워치 ECG는 의료기기가 아니므로, '판독 불가' 결과가 자주 나올 수 있습니다. 이는 워치의 측정 정확도, 사용 방법 미숙, 또는 실제로 심방세동 외 다른 부정맥이 있을 가능성 등을 의미할 수 있습니다. * 심방세동: 워치에서 '불규칙한 심장 리듬'이 감지되는 경우, 가장 흔한 원인 중 하나는 심방세동입니다. 심방세동은 심장이 불규칙하게 뛰는 부정맥으로, 뇌졸중 위험을 높일 수 있습니다. * 정상 심전도: 병원 심전도에서 정상으로 나왔다고 해서 심방세동이 완전히 없다고 단정할 수는 없습니다. 심방세동은 발작성으로 나타났다가 사라지기도 하므로, 짧은 시간 동안의 심전도 검사로는 진단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2. 어머님 ECG 결과에 대한 분석 * 제공해주신 두 건의 ECG 결과를 보면, 심박수는 정상 범위이지만 리듬이 불규칙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는 심방세동의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 맥박이 불규칙하게 느껴진다는 점, 가정용 혈압계에서 비정상 맥파가 자주 감지된다는 점도 심방세동 가능성을 높이는 소견입니다. 3. 추가 검토 및 고려 사항 1. 24시간 홀터 검사: 대학병원에서 예약이 어렵더라도, 24시간 홀터 검사를 받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이 검사를 통해 하루 동안의 심장 리듬 변화를 자세히 확인할 수 있어, 발작성 심방세동 진단에 도움이 됩니다. 2. 정밀 검사 요청: 대학병원 교수님께 워치 ECG 결과와 자가 관찰 내용을 자세히 설명드리고, 심방세동 가능성에 대한 추가 검사를 요청해 보세요. 필요한 경우, 다른 대학병원 신경과에 문의하여 24시간 홀터 검사를 받는 것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3. 혈전 치료: 뇌경색 병력이 있으시므로, 심방세동이 확인될 경우 혈전 생성을 막는 항응고제 복용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이는 뇌졸중 재발 위험을 낮추는 데 중요합니다. 4. 추가적인 조언 * 규칙적인 측정: 갤럭시 워치로 ECG를 규칙적으로 측정하여 기록해 두세요. 이는 의사에게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 정확한 사용법 숙지: 워치 ECG 사용법을 정확히 숙지하고, 측정 시 움직이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 생활 습관 개선: 건강한 식단, 규칙적인 운동, 충분한 수면 등 건강한 생활 습관을 유지하는 것이 심장 건강에 도움이 됩니다. Disclaimer: 이 조언은 의학적 진단을 대체할 수 없습니다. 어머님의 상태에 대한 정확한 진단과 치료 계획은 반드시 전문의와 상담하여 결정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