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2025-05-19 08:47:41통증…..
안녕하세요 작년 11월에 학교에서 넘어져서
무릎이 많이아팠거든요. 그냥 타박상이겠지
하고 시간지나면 괜찮아지겠지하는데
1달지나도 안나는거예요. 그래서 병원에서 mri
찍었는데 미세골절 나왔거든요?
근데 10주20주 지났는데
그정도 지나면 뼈가다 아물었을건데
지금은 통증이 전보다 더심해졌어요.
왜그런걸까요?
A
Dr.s Diagnosis안녕하세요. 11월에 넘어져 무릎에 미세골절 진단을 받으셨는데, 시간이 꽤 흘렀음에도 통증이 오히려 심해졌다고 하니 걱정이 많으시겠습니다.
미세골절 후 통증이 지속되거나 심해지는 원인은 다양할 수 있습니다. 몇 가지 가능성을 살펴보고, 추가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안내해 드릴게요.
1. 불완전한 골절 치유: 미세골절은 일반 골절보다 치유 기간이 짧을 수 있지만, 개인의 건강 상태, 골절 부위, 활동량 등에 따라 회복 속도가 다를 수 있습니다. 10주에서 20주 정도면 어느 정도 치유가 진행되었어야 하지만, 완전히 아물지 않았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 예시: 칼슘 부족, 비타민 D 부족, 흡연 등은 뼈의 치유를 더디게 할 수 있습니다.
2. 주변 조직 손상: 넘어질 때 골절 외에도 인대, 힘줄, 연골 등 주변 조직에 손상이 발생했을 수 있습니다. 골절은 어느 정도 회복되었더라도, 이러한 주변 조직의 손상이 남아있어 통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예시: 무릎 인대 손상(전방십자인대, 내측측부인대 등), 반월상 연골 파열 등
3. 반복적인 자극: 무릎을 계속 사용하면서 골절 부위나 주변 조직에 반복적인 자극이 가해지면 통증이 악화될 수 있습니다.
* 예시: 과도한 운동, 무릎을 꿇거나 쪼그려 앉는 자세, 장시간 서 있는 자세 등
4. 염증: 골절 부위 또는 주변 조직에 염증이 발생하면 통증, 부종, 열감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예시: 외상 후 염증 반응, 감염 등
5. 신경 손상: 넘어질 때 신경이 손상되었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신경 손상은 쑤시거나 저린 듯한 통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고려하여 추가적인 조치를 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 정밀 검사: 현재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 MRI, CT 촬영 등 추가적인 검사를 고려해 보세요.
* 전문의 상담: 정형외과 전문의와 상담하여 정확한 진단을 받고, 적절한 치료 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 휴식 및 보호: 무릎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충분한 휴식을 취하고, 보호대를 착용하여 무릎을 보호하세요.
* 재활 치료: 물리 치료, 운동 치료 등을 통해 무릎 주변 근력을 강화하고 관절 운동 범위를 회복하는 것이 통증 완화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약물 치료: 통증이 심한 경우 진통제, 소염제 등을 복용하여 통증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주의사항: 위 내용은 일반적인 의학 정보이며, 개인의 상태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반드시 전문의와 상담하여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받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