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2025-06-11 09:32:49발등, 발목, 종아리 통증이 있는데 수술 필수 여부
1년 전부터 발등에 관절염, 힘줄염이 있다고 하셨고 발목도 그렇게 좋지 않았었습니다. 선생님은 치료를 해보고 다시 증상이 나타나면 그때는 관절유합술을 해야 한다고 하셨습니다..(2~3개월 주기별로 한번씩 삠)
각종 주사(3가지 종류의 주사였어요)와 물리치료, 체외충격파, 도수치료 다 받았고 약 8개월 뒤에 통증이 많이 줄어드는 호전이 보였습니다.
그렇게 4개월이 지난 현재 2~3시간 걸을 일이 있어서 걸었는데 그 이후로 통증이 다시 시작되었습니다.
그래서 얼음찜질을 하며 일주일을 보냈고 그래도 여전한 통증과 붓기, 멍으로 인해 병원에 방문을 했고MRI상 관절염, 힘줄염이 보이며, 발목 인대 완전 파열, 나까지 겹쳤다고 합니다.
그래서 제일 시급한 발목 불안전증(만성)을 수술(발목인대재건술)하자고 하셨고 알겠다고 한 상황입니다.
제가 궁금한 것은
발목인대재건술을 하고, 통깁스 4주, 반깁스 n주, 보호대나 보조기 n주 이렇게 하기로 했거든요? 그렇게 고정을 하면 발등 관절염, 힘줄염이 자동적으로 치유가 되는 건가요?
만약 치유가 되지 않은 거라면 선생님께 말씀을 드려서 관절유합술을 하는게 맞는 걸까요?
3. 걸을 때마다 발등과 발목이 너무 아픈 와중에도 종아리가 땡기는데 그런 증상도 정상인건가요? 아니면 물어보는게 나을까요?
4. 아니면 수술 후에 반깁스 착용할 때 발등에도 다시 주사나 체외충격파를 맞는게 도움이 되는 건가요?
A
Dr.s Diagnosis안녕하세요. 발등, 발목, 종아리 통증으로 걱정이 많으시겠네요. 1년 전부터 겪으신 통증이 재발하고, 발목 인대 완전 파열 진단까지 받으셔서 더욱 힘드실 것 같습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해 자세히 답변드리겠습니다.
1. 발목인대재건술 후 발등 관절염/힘줄염 치유 여부
발목인대재건술은 발목 불안정증을 해결하기 위한 수술입니다. 발목을 고정하는 과정에서 발등 관절염이나 힘줄염이 *일부* 호전될 가능성은 있습니다. 발목이 안정되면 발등에 가해지는 부담이 줄어들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완전히 치유된다고 보장할 수는 없습니다.
* 예시: 발목이 불안정하면 걸을 때 발등에 힘이 과하게 들어가 관절염이나 힘줄염이 악화될 수 있습니다. 인대 재건술 후 발목이 안정되면 이러한 악순환이 끊어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미 손상된 관절이나 힘줄은 수술만으로 완전히 회복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2. 관절유합술 고려 시점
발목인대재건술 후에도 발등 통증이 지속된다면 관절유합술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섣불리 결정하지 마시고, 다음과 같은 단계를 거치는 것이 좋습니다.
* 충분한 재활: 발목인대재건술 후 꾸준한 재활 치료를 통해 발목과 발등의 기능을 회복하는 데 집중합니다.
* 통증 평가: 재활 후에도 통증이 지속된다면, 정확한 통증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추가적인 검사(X-ray, CT 등)를 고려합니다.
* 전문의 상담: 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전문의와 충분히 상담하여 관절유합술의 필요성, 장단점, 예후 등을 자세히 알아봅니다.
3. 종아리 땡김 증상
걸을 때 발등과 발목 통증과 함께 종아리가 땡기는 것은 정상적인 반응일 수 있습니다. 발목이 불안정하거나 통증이 있으면 걸을 때 종아리 근육이 과도하게 긴장하게 됩니다. 하지만, 다음과 같은 경우도 고려해야 합니다.
* 신경 압박: 발목이나 발등 부위의 신경이 압박되어 종아리 통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혈액순환 문제: 발목 부위의 혈액순환이 원활하지 않아 종아리 통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종아리 땡김 증상이 심하거나 지속된다면 반드시 의사에게 문의하여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4. 반깁스 착용 시 주사/체외충격파 치료
발목인대재건술 후 반깁스를 착용하는 동안 발등에 주사나 체외충격파 치료를 받는 것은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치료는 염증을 줄이고 통증을 완화하며 조직 재생을 촉진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 주사 치료: 스테로이드 주사나 히알루론산 주사 등을 통해 염증을 줄이고 관절을 부드럽게 만들 수 있습니다.
* 체외충격파 치료: 충격파를 통해 손상된 조직의 회복을 돕고 통증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
다만, 주사나 체외충격파 치료는 반드시 의사의 판단 하에 시행해야 합니다. 수술 부위의 상태, 통증 정도, 환자의 전반적인 건강 상태 등을 고려하여 치료 방법을 결정해야 합니다.
중요: 위 내용은 일반적인 의학 정보이며, 환자분의 구체적인 상태에 대한 진단이나 치료 계획을 대체할 수 없습니다. 반드시 담당 의사와 상담하여 정확한 진단과 치료 계획을 세우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