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2025-09-15 08:37:14

아파트 2중주차 문제

저녁부터 새벽까지 장사해서 퇴근 시간이 늦는데요 그래서 퇴근하고 집에 오면 아파트에 주차 자리가 없습니다.2중주차를 계속 해왔고 10시 이전에 빼라고 했는데4-5시에 자고 12시에 또 출근이라 중간에 일어나서 이동 주차를 못하니까매번 스티커를 붙여도 그냥 타고 다녔거든요10시정도에 스티커를 부착합니다.그런데 이번에 3회 이상 2중 주차에 단속에 걸리면 아파트 주차를 못하게 하겠다라고메모와 스티커가 붙여있네요. 관리사무소에 전화를 했고 동대표들 회의로 결정이라서 어쩔수없다라고 합니다

그래서 제가 관련 법을 찾아 봤는데

공동주택인 아파트 관리할 의무를 부담할 뿐특정한 방법으로 공용부분인 주차장이 관리될 수 있도록규약을 제정하거나 개정해야 할 구체적인 작위의무를 부담한다고 볼 수 없다.법원 판결이 있더라구요 법적으로 못 하는게 맞는거죠?

A
Dr.s Diagnosis
아파트 2중 주차 문제로 고민이 많으시겠네요. 늦은 시간 귀가 후 주차 공간 부족으로 2중 주차를 할 수밖에 없는 상황, 그리고 아파트 측의 주차 금지 조치에 대한 법적 문제까지, 복잡하게 얽혀있는 문제라 생각됩니다. 1. 아파트 주차 규정 및 법적 검토: * 법원 판결: 말씀하신 법원 판결은 아파트 관리 의무가 있지만, 특정 주차 방법을 강제할 구체적인 의무는 없다는 내용으로 이해됩니다. 즉, 아파트가 주차 관련 규정을 만들고 시행할 수는 있지만, 그 내용이 관련 법규에 위반되거나 입주민의 권리를 지나치게 침해하면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 주차장법: 주차장법은 주차장 설치 기준, 관리 등에 관한 기본적인 사항을 규정하고 있습니다. 아파트 주차장이 주차장법의 적용을 받는지, 그리고 아파트 주차 규정이 주차장법에 위반되는지 검토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 공동주택관리법: 공동주택관리법은 아파트 관리, 입주자 권리 등에 관한 사항을 규정합니다. 아파트 주차 규정이 공동주택관리법에 위반되는지, 특히 입주민의 권리를 침해하는지 검토해야 합니다. * 아파트 관리 규약: 아파트 관리 규약은 입주민들이 아파트 생활에 필요한 규칙을 정한 것입니다. 아파트 주차 규정이 관리 규약에 명시되어 있는지, 그리고 그 내용이 합리적인지 검토해야 합니다. 2. 2중 주차 금지 조치의 적절성: * 단속 기준: 3회 이상 2중 주차 시 주차 금지라는 단속 기준이 합리적인지 따져봐야 합니다. 2중 주차를 할 수밖에 없는 상황, 시간 등을 고려했는지, 예외 규정은 없는지 등을 확인해야 합니다. * 사전 고지: 주차 금지 조치를 시행하기 전에 입주민들에게 충분히 알리고 의견을 수렴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 형평성: 다른 2중 주차 차량에도 동일한 기준을 적용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특정 세대만 차별적으로 단속하는 경우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3. 문제 해결을 위한 노력: * 관리사무소, 동대표와 협의: 2중 주차를 할 수밖에 없는 상황을 설명하고, 주차 시간을 조정하거나 예외를 인정해달라고 요청해볼 수 있습니다. 다른 입주민들에게 피해를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해결책을 찾아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 주차 공간 확보: 아파트 주차 공간이 부족하다면, 관리사무소에 주차 공간 확보를 위한 건의를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유휴 공간을 활용하여 주차 공간을 늘리거나, 외부 주차장을 임대하는 등의 방법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 법률 전문가 상담: 법적인 문제에 대한 정확한 판단을 위해 변호사 등 법률 전문가와 상담하는 것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4. 추가적인 조언: * 증거 확보: 2중 주차 스티커, 아파트 공지문, 관리사무소와의 통화 기록 등 관련 자료를 모아두는 것이 좋습니다. * 사진 촬영: 2중 주차된 차량 사진, 주차 공간 부족 상황 등을 사진으로 찍어두면 증거 자료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 내용 증명: 관리사무소에 문제 해결을 요구하는 내용 증명을 보내는 것도 하나의 방법입니다. 중요: 위 내용은 일반적인 정보이며, 실제 상황에 대한 정확한 판단은 법률 전문가와 상담하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