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2025-07-24 10:27:30

5살아이 놀이치료중 엎어진후 팔이 안올라가요...

5살아이 놀이치료중 엎어진후 팔이 안올라가요

지금 정형외과에 가고있는데 고칠수 있을까요?

A
Dr.s Diagnosis
안녕하세요. 5살 아이가 놀이치료 중 엎어진 후 팔이 올라가지 않아 걱정이 많으시겠습니다. 현재 정형외과에 가시는 것은 아주 적절한 조치입니다. 아이의 경우, 팔이 안 올라가는 원인이 다양할 수 있으며, 정확한 진단과 치료가 중요합니다. 가능한 원인: * 골절: 뼈에 금이 가거나 부러졌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아이들은 뼈가 완전히 굳지 않아 어른과는 다른 형태의 골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팔꿈치 부위의 골절은 엑스레이 촬영으로 확인해야 합니다. * 탈구: 어깨나 팔꿈치 관절이 제 위치에서 벗어났을 수 있습니다. 탈구는 심한 통증을 동반하며, 즉시 정복(관절을 제자리로 되돌리는 것)해야 합니다. * 인대 손상: 엎어지면서 팔을 짚을 때 인대가 늘어나거나 파열될 수 있습니다. 인대 손상은 정도에 따라 치료 방법이 달라집니다. * 근육 손상: 근육이 놀라거나 찢어졌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근육 손상은 휴식과 물리치료로 회복될 수 있습니다. * 일시적인 신경 마비: 드물지만, 신경이 눌리거나 충격을 받아 일시적으로 팔을 움직이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정형외과에서 받게 될 검사 및 치료: 1. 진찰: 의사 선생님이 아이의 팔 움직임, 통증 부위, 부종 등을 확인합니다. 2. 엑스레이 촬영: 골절이나 탈구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엑스레이 촬영을 할 가능성이 큽니다. 3. 필요에 따라 추가 검사: 엑스레이로 정확한 진단이 어렵거나 인대 손상이 의심되는 경우, CT나 MRI 촬영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4. 치료: * 골절: 깁스나 보조기 등으로 고정합니다. 심한 경우 수술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 탈구: 정복 후 깁스나 보조기로 고정합니다. * 인대/근육 손상: 휴식, 냉찜질, 진통제, 물리치료 등을 시행합니다. * 신경 마비: 경과를 지켜보면서 필요에 따라 약물치료나 물리치료를 합니다. 집에서 할 수 있는 일: * 안정: 아이가 팔을 최대한 움직이지 않도록 해주세요. * 냉찜질: 부기가 있다면 냉찜질을 해주세요. * 진통제: 병원에서 처방받은 진통제가 있다면 용법에 따라 복용시키세요. * 경과 관찰: 아이의 통증 정도, 팔 움직임 등을 주의 깊게 관찰하고, 특이사항이 있으면 즉시 병원에 연락하세요. 정형외과에 가시는 길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아이가 하루빨리 건강을 회복하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