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2025-06-27 09:41:03MRI촬영질문인데요..
촬영을하니..뇌종양이재발했다고 하는데..혹시 가발붙이는본드때문에 그부분이 하얗게나올쑤있을까요?
재발했다는부분에 가발을 떼어보니 잘안붙어서 본드를잔뜩 발라놨더니 두껍게굳어있더라구요..혹시그럴가능성이있을까해서 여쭤봅니다~
A
Dr.s Diagnosis안녕하세요. MRI 촬영 후 뇌종양 재발 진단을 받으시고 걱정이 많으시겠네요. 가발 접착제 사용이 MRI 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는지에 대해 궁금해하시는 것 같습니다.
이론적인 가능성
* 금속 성분: 일부 가발 접착제에는 미량의 금속 성분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MRI는 강한 자기장을 이용하여 영상을 얻는 검사이기 때문에, 금속 성분이 있는 물질은 영상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 화학적 성분: 접착제의 화학 성분이 MRI 신호에 변화를 일으켜 하얗게 보일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습니다. 특히 접착제가 두껍게 굳어있는 경우, 주변 조직과 다른 신호 강도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가능성은 낮습니다.
* 미미한 양: 가발 접착제에 포함된 금속 성분이나 화학 성분의 양이 매우 적다면 MRI 영상에 뚜렷한 변화를 일으키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 뇌종양 재발과의 차이: 뇌종양 재발은 일반적으로 MRI에서 특징적인 형태와 위치, 조영 증강 패턴(contrast enhancement) 등을 보입니다. 단순히 하얗게 보이는 것만으로는 재발을 단정하기 어렵습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담당 의사와의 상담입니다.
* MRI 영상을 판독한 의사는 환자분의 과거 병력, 임상 증상, 이전 MRI 영상과의 비교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재발 여부를 판단했을 것입니다.
* 가발 접착제 사용에 대한 정보를 의사에게 알리고, 추가적인 검사나 영상 판독을 통해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 필요하다면 조영제 MRI 촬영을 통해 종양의 특성을 더욱 자세히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예시
만약 MRI 영상에서 종양이 의심되는 부위가 가발 접착제를 사용한 부위와 정확히 일치하고, 다른 특징적인 소견이 없다면 의사는 접착제의 영향일 가능성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의사는 경과 관찰이나 추가적인 검사를 통해 감별 진단을 시도할 것입니다.
결론적으로, 가발 접착제가 MRI 결과에 영향을 줄 가능성은 있지만, 매우 낮습니다. 뇌종양 재발 여부는 반드시 담당 의사와 상담하여 정확한 진단을 받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