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2025-06-11 09:07:14우폐 미세결절 의심소견
이번에 건강검진 하면서 기타소견에 우폐 미세결절
음영 의증(판정보류) / 추적검사요함 이라고 써있는데
바로 대학병원 가서 진료보는건 아니더라도 종합병원급
가서 진료를 받아보는게 좋겠죠..? 그리고 심각한
상태는 아니겠죠?

A
Dr.s Diagnosis안녕하세요. 건강검진 결과에 우폐 미세결절 음영 의증 소견으로 걱정이 많으시겠네요. 하지만 너무 염려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우폐 미세결절이란?
폐에 작은 크기의 혹(결절)이 발견되었다는 의미입니다. 이러한 결절은 엑스레이나 CT 촬영에서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많으며, 대부분은 양성(암이 아닌)인 경우가 많습니다.
원인
미세결절의 원인은 다양합니다.
* 과거의 감염: 폐렴이나 결핵과 같은 과거 감염의 흔적일 수 있습니다.
* 양성 종양: 드물게 양성 종양(예: 과오종)일 수도 있습니다.
* 흡연: 흡연자의 경우 미세결절이 더 흔하게 발견될 수 있습니다.
* 환경적 요인: 공해나 특정 직업 환경에 노출된 경우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원인 불명: 특별한 원인 없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추적 검사가 필요한 이유
미세결절이 발견되었을 때 추적 검사를 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악성 여부 확인: 드물게 미세결절이 폐암의 초기 단계일 수 있으므로, 정기적인 추적 관찰을 통해 악성 여부를 확인합니다.
* 변화 여부 관찰: 결절의 크기나 모양이 변하는지 확인하여 악성 가능성을 판단합니다.
종합병원 방문
건강검진 결과에서 추적 검사가 필요하다고 나왔으므로, 종합병원이나 대학병원의 호흡기내과를 방문하여 전문의와 상담하는 것이 좋습니다. 흉부 CT 촬영을 통해 결절의 크기, 모양, 위치 등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필요에 따라 추가 검사(예: 객담 검사, 기관지 내시경)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심각한 상태 여부
현재 상태가 심각하다고 단정하기는 어렵습니다. 미세결절은 대부분 양성이며, 추적 검사를 통해 변화가 없거나 크기가 줄어드는 경우도 많습니다. 하지만 폐암의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으므로, 전문의와 상담하여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음은 일반적인 추적 검사 방법입니다.
* 3개월 ~ 6개월 후 CT 촬영: 결절의 크기나 모양 변화를 확인합니다.
* PET-CT: 악성 가능성이 높은 경우, PET-CT를 통해 결절의 대사 활동을 평가합니다.
* 조직 검사: 악성 가능성이 높거나 결절의 크기가 커지는 경우, 조직 검사를 통해 확진합니다.
주의사항
* 금연: 흡연은 폐암의 가장 큰 위험 요인이므로, 금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건강한 생활 습관: 규칙적인 운동과 균형 잡힌 식단을 통해 면역력을 높이는 것이 좋습니다.
* 정기적인 검진: 추적 검사 외에도 정기적인 건강검진을 통해 폐 건강을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마지막으로,
너무 걱정하지 마시고, 전문의와 상담하여 정확한 진단을 받고 적절한 치료 계획을 세우시면 건강하게 지내실 수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