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2025-09-04 09:41:50

요양원에 계시는 시어머니 부양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84세 시어머님이 5년전쯤 고관절수술로 까지요양원에 계십니다.그런데 문제는 시댁엔2남3녀로저희는둘깨아들입니다.

시골에서저희가모시고살면서 2층으로 집을지어서 건물은 저희.땅은어머님앞으로 등기를했어요.그런데 저희가 12년쯤살다 분가를하게되고 2층월세가1년에 8백5십이란수입이 있지만 18년동안어머님이받아사용하시고 그돈으로 요양비로도 사용했읍니다.그러던중작년6월쯤에 저희앞으로 상속하면서 큰아들은저희가4천드리고.둘째딸은어머님에게

사업하면서4천5백쯤 빌려갔다고합니다.막내딸은 큰아들에게 서 엄마통장받아오면서천5백빼가고 시골보증금들어있는통장을 저희에게 주면서 앞으로 어머님책임을 저희에게 맏기더라고요.

저희어머님은 장애등급이있어 큰아들주소로 되어있길래 이번에 저희남편으로 주소 이전했는데 다시 큰아들이 주소를 자져가셨네요.

궁금한거는 어머님이 제산이 없으니 따로분리하면 혜택이 있는건지??이런상화에서 우리는 어떻게 해야되는지 상담을 하고싶읍니다

A
Dr.s Diagnosis
요양원에 계신 시어머님 부양 문제로 고민이 많으시겠네요. 복잡한 가족 관계와 재산 문제까지 얽혀 있어 더욱 어려움이 느껴집니다. 제가 몇 가지 질문을 드려 상황을 더 자세히 파악하고, 현실적인 조언을 드릴 수 있도록 돕겠습니다. 1. 현재 어머님의 정확한 재산 상황: * 정확한 재산 목록: 현재 어머님 명의로 남아있는 재산이 정확히 무엇인지 확인해야 합니다. (예: 토지, 예금, 보험 등) * 과거 재산 처분 내역: 과거에 처분된 재산 (예: 2층 월세, 큰아들이 가져간 돈 등)의 사용처를 명확히 파악해야 합니다. 2. 가족 구성원의 경제 상황: * 각 자녀의 소득 수준: 각 자녀들의 소득 수준을 파악하여 부양 능력을 가늠해야 합니다. * 며느님의 경제 상황: 며느님께서도 경제적인 부담을 느끼고 계신지, 현재 소득 수준은 어떠한지 알아야 합니다. 3. 어머님의 건강 상태 및 요양 비용: * 현재 요양 비용: 현재 요양원 비용은 얼마이며, 어떤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는지 알아야 합니다. * 향후 예상되는 의료비: 앞으로 어머님께 필요한 의료 서비스와 예상되는 비용을 파악해야 합니다. 4. 법률 및 제도적 지원 가능성: * 장애인 연금 수급 여부: 어머님께서 장애인 연금을 받고 계신지 확인해야 합니다. * 기초생활수급 가능성: 어머님의 재산과 소득을 기준으로 기초생활수급 대상이 되는지 알아봐야 합니다. 5. 가족 간의 합의 가능성: * 자녀들의 부양 의지: 각 자녀들이 어머님 부양에 대해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는지, 기여할 의향이 있는지 파악해야 합니다. * 합리적인 분담 방안: 가족 간의 합의를 통해 공평하고 현실적인 부양 분담 방안을 모색해야 합니다. 가능한 해결 방안 (예시): 1. 재산 분리 및 기초생활수급 신청: 어머님의 재산을 자녀들과 분리하고, 소득 기준을 충족하면 기초생활수급을 신청하여 요양 비용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2. 가족 간 부양 합의: 각 자녀의 경제적 상황을 고려하여 합리적인 부양 분담금을 결정하고, 정기적으로 지원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3. 법률 전문가 상담: 변호사, 법무사 등 법률 전문가와 상담하여 상속 및 부양 관련 법적 문제에 대한 정확한 자문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4. 사회복지 상담: 사회복지관이나 관련 기관에서 제공하는 상담을 통해 다양한 지원 제도와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주의사항: * 정확한 정보 제공: 상담 시에는 어머님의 재산, 가족 관계, 소득 등 모든 정보를 정확하게 제공해야 합니다. * 객관적인 시각 유지: 감정적인 대응보다는 객관적인 시각을 유지하며 문제 해결에 집중해야 합니다. * 전문가 도움 활용: 복잡한 법적 문제는 반드시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해결해야 합니다. Disclaimer: 저는 인공지능 챗봇으로서 법률 및 의학적 조언을 제공할 수 없습니다. 위에 제시된 내용은 일반적인 정보이며, 실제 상황에 대한 정확한 판단은 전문가와 상담을 통해 받으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