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2025-05-08 08:46:51경골 골절 수술 시 전신마취를 하나요?
넘어지면서 다리를 심하게 다친 뒤 경골 골절 진단을 받고 수술을 앞두고 있습니다.
경골 골절 수술은 전신마취로 진행하는 경우가 많은가요?
2. 전신마취 대신 척추마취나 부분마취도 가능한 경우가 있는지 궁금해요.
3. 마취 방법에 따라 수술 후 회복 속도나 통증에 차이가 있나요?
4. 수술 전 마취 방식은 어떤 기준으로 결정되는 건가요?
A
Dr.s Diagnosis안녕하세요. 경골 골절 수술을 앞두고 걱정이 많으시겠네요. 질문하신 내용에 대해 자세히 답변드리겠습니다.
1. 경골 골절 수술 시 전신마취 여부:
* 경골 골절 수술은 전신마취, 척추마취, 부분마취 모두 가능합니다. 어떤 마취 방법을 선택하는지는 환자의 상태, 골절의 정도, 수술 방법, 그리고 병원 및 의료진의 판단에 따라 달라집니다.
* 전신마취: 환자를 완전히 잠들게 하여 통증을 느끼지 못하게 하는 방법입니다. 수술 시간이 길거나 복잡한 골절에 주로 사용됩니다.
2. 척추마취 및 부분마취 가능성:
* 척추마취: 하반신만 마취하는 방법으로, 전신마취에 비해 회복이 빠르고 부작용이 적을 수 있습니다.
* 부분마취 (신경 차단): 다리 특정 부위의 신경을 차단하여 해당 부위만 마취하는 방법입니다. 발목이나 발 부위 골절에 주로 사용됩니다.
* 전신마취가 아닌 척추마취나 부분마취도 충분히 가능하며, 담당 의사와 상의하여 본인에게 적합한 방법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3. 마취 방법에 따른 회복 속도 및 통증 차이:
* 전신마취: 수술 후 몽롱함, 구역감, 인후통 등이 있을 수 있으며, 회복 시간이 다소 걸릴 수 있습니다.
* 척추마취: 두통, 저혈압 등이 나타날 수 있지만, 전신마취에 비해 회복이 빠른 편입니다.
* 부분마취: 마취 부위에 통증이나 불편감이 있을 수 있지만, 회복 속도가 가장 빠릅니다.
* 통증은 마취 방법 외에도 수술의 복잡성, 개인의 통증 민감도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4. 마취 방식 결정 기준:
* 환자 상태: 나이, 기저 질환 (심장 질환, 폐 질환, 당뇨병 등), 알레르기 등을 고려합니다.
* 골절 정도: 골절의 위치, 형태, 개방성 여부 등을 고려합니다.
* 수술 방법: 수술 시간, 절개 범위, 필요한 기기 등을 고려합니다.
* 의료진 판단: 마취과 의사와 정형외과 의사가 협의하여 가장 안전하고 효과적인 방법을 결정합니다.
추가 조언:
* 수술 전 마취과 의사와의 상담 시 본인의 건강 상태, 복용 중인 약물, 알레르리 병력 등을 상세히 알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 마취 방법에 대한 궁금증이나 걱정을 솔직하게 이야기하고, 충분한 설명을 듣고 결정하시기 바랍니다.
Disclaimer: 이 정보는 일반적인 의학 정보이며, 특정 환자의 상황에 맞춘 진단이나 치료를 대체할 수 없습니다. 반드시 담당 의사와 상담하여 적절한 치료를 받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