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2025-06-18 09:49:15

횡문근융해증 치료 중인데 다리가...

스피닝 후문근융해증이 와서 치료 중인데요

처음엔 cpk 수치가 9만 이었고 3일뒤 7만 그다음날

2만,현재 1만대까지 떨어지고 있어요

근데 입원 후부터 한쪽 다리만 붓기 시작하더니

지금까지 계속 부어 부종처럼 됐는데...

워낙 근육 데미지가 많았다며 수액도 과다투여 되니

그렇다는데...그러기엔 하루하루 심하게 부어서

지금은 약간의 압통이 느껴지는데

어찌해야 되나요??

현재 후문근융해증 입원치료 중인데..

다른 대학병원이나 심혈관과로 가야 되나요?

너무 무서워요...

A
Dr.s Diagnosis
안녕하세요. 횡문근융해증 치료 중 다리 부종과 압통으로 걱정이 많으시겠습니다. CPK 수치가 호전되고 있는 것은 긍정적이지만, 다리 부종이 심해지는 것은 다른 문제일 가능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몇 가지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추가적인 조치를 고려해 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1. 횡문근융해증 관련 합병증: * 구획 증후군: 횡문근융해증으로 손상된 근육이 부어오르면서 근육을 둘러싼 구획 내 압력이 증가하여 혈액순환을 막을 수 있습니다. 심한 통증, 감각 이상, 마비 등이 동반될 수 있으며, 심한 경우 응급 수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압통이 느껴진다는 점에서 구획 증후군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습니다. * 신부전: 횡문근융해증으로 인한 근육 손상 물질이 신장에 부담을 주어 신부전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수액 과다 투여가 신장에 부담을 줄 수도 있습니다. 2. 수액 과다 투여: * 수액 과다 투여로 인해 전신 부종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신장 기능이 저하된 경우 부종이 심해질 수 있습니다. 3. 심혈관 질환: * 드물지만 심부정맥 혈전증(DVT)과 같은 심혈관 질환도 다리 부종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4. 기타: * 림프부종, 염증성 질환 등 다른 원인도 고려해야 합니다. 어떻게 해야 할까요? 1. 담당 의사에게 즉시 알리기: 현재 입원 중이시므로 담당 의사에게 다리 부종과 압통이 심해지는 것을 즉시 알리고 정확한 진단을 받아야 합니다. 2. 추가 검사 요청: * 구획 압력 측정: 구획 증후군이 의심되는 경우 구획 내 압력을 측정하여 진단할 수 있습니다. * 신장 기능 검사: 신장 기능 저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혈액 검사(BUN, creatinine)를 실시할 수 있습니다. * 심혈관 검사: 심부정맥 혈전증이 의심되는 경우 초음파 검사(D-dimer) 등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다른 병원 방문 고려: 담당 의사와 상의 후 필요하다면 다른 대학병원이나 심혈관 관련 전문의의 진료를 받아보는 것을 고려해 보세요. 예시: * "선생님, 다리 부종이 점점 심해지고 압통도 느껴져서 걱정됩니다. 혹시 구획 증후군이나 다른 합병증 가능성은 없을까요? 추가 검사를 받을 수 있을까요?" * "수액을 계속 맞고 있는데, 부종이 심해지는 것이 수액 때문일 수도 있을까요? 신장 기능에 문제가 생겼을 가능성도 확인해 주시면 좋겠습니다." 마지막으로: 온라인에서는 정확한 진단을 내릴 수 없으므로, 반드시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전문적인 진료를 받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