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2025-07-30 06:52:21

피티수업 후 입원치료

안녕하세요

피티 수업 후 몸이 이상해서(양 팔이 띵띵부음) 다니던 한의원을 갔고 근육효소가 ck수치가 1200이 나왔대서 금,토,일 3일 다니다 수액 맞으러 응급실을 갔더니 ck 3800대라길래 월,화,수 입원치료 후 퇴원 했습니다.

그룹피티로 신청했던 거라 저는 두번의 수업료 제외 나머지 환불 받기로 하였고, 일행은 1:1로 전환함과 동시에 추가금이 붙더라구요.

물론 사과는 받았지만 일행에게 11만원을 지급해야 하는 입장에서 헬스장 책임은 없는지 궁금합니다

진찰시에는 횡문근융해증이라는 설명을 하셨는데 진단서 코드에는 m62.89로 작성이 되어 있습니다

A
Dr.s Diagnosis
안녕하세요. 피티 수업 후 횡문근융해증으로 입원 치료까지 받으셨다니, 몸과 마음이 모두 힘드셨을 텐데 정말 안타깝습니다. 헬스장 책임 여부에 대해 궁금하신 것 같아, 제가 아는 선에서 자세히 설명해 드릴게요. 횡문근융해증과 M62.89 진단 코드 먼저 횡문근융해증은 심한 운동이나 외상 등으로 근육이 손상되어 근육 세포 속 물질들이 혈액으로 쏟아져 나오는 질환입니다. CK(Creatine Kinase) 수치가 급격히 상승하는 것이 특징이죠. M62.89는 '기타 명시된 근육 질환'이라는 코드인데, 횡문근융해증을 포괄하는 더 넓은 범위의 질환을 의미할 수 있습니다. 진단서에 M62.89로 기재된 것은 횡문근융해증 외 다른 근육 손상 가능성도 염두에 둔 것일 수도 있고, 단순히 상세 병명을 기재하지 않은 것일 수도 있습니다. 정확한 내용은 담당 의사 선생님께 문의하시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헬스장 책임 여부 헬스장의 책임 여부는 다음과 같은 요인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판단해야 합니다. 1. 트레이너의 과실: 트레이너가 회원의 운동 능력이나 건강 상태를 제대로 파악하지 않고 무리한 운동을 시켰는지, 운동 강도 조절에 실패했는지 등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평소 운동을 전혀 하지 않던 사람에게 갑자기 고강도 운동을 시키거나, 횡문근융해증의 초기 증상(근육통, 부종 등)을 무시하고 운동을 강행했다면 트레이너의 과실이 인정될 수 있습니다. 2. 헬스장의 안전 관리 의무: 헬스장은 회원들이 안전하게 운동할 수 있도록 적절한 시설과 장비를 갖추고, 안전 수칙을 준수해야 할 의무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운동 전 스트레칭을 충분히 지도하지 않았거나, 운동 중 휴식 시간을 제대로 제공하지 않았다면 헬스장의 책임이 인정될 수 있습니다. 3. 회원의 기저 질환: 회원이 횡문근융해증 발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기저 질환(신장 질환, 당뇨병 등)을 앓고 있었는지도 고려해야 합니다. 이러한 질환이 있었다면 헬스장 책임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법적 책임 관련 * 손해배상 청구: 헬스장 또는 트레이너의 과실로 인해 횡문근융해증이 발생했다면, 치료비, 입원비, 휴업 손해, 정신적 위자료 등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소비자분쟁조정: 헬스장과의 합의가 원만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소비자보호원에 분쟁 조정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일행의 1:1 전환 추가금 그룹 피티에서 1:1로 전환하면서 추가금이 발생한 부분은 헬스장 약관이나 계약 내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계약서에 명시된 내용이 있다면 그에 따르는 것이 원칙이지만, 헬스장 과실로 인해 부득이하게 1:1 전환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추가금 감면을 요구해 볼 수 있습니다. 제언 1. 진단서 재확인: 담당 의사 선생님께 진단서에 기재된 M62.89 코드가 횡문근융해증을 의미하는 것이 맞는지, 다른 근육 손상 가능성은 없는지 확인해 보세요. 2. 헬스장 약관 확인: 헬스장 이용 계약서나 약관을 꼼꼼히 살펴보시고, 헬스장의 책임 범위나 환불 규정 등에 대해 확인해 보세요. 3. 증거 수집: 피티 수업 내용, 트레이너의 지도 방식, 횡문근융해증 발생 시점 등을 상세히 기록하고, 관련 사진이나 동영상, 진단서, 치료비 영수증 등을 확보해 두세요. 4. 전문가 상담: 변호사나 소비자보호 전문가와 상담하여 법적 책임 여부와 손해배상 가능성을 정확하게 판단해 보세요. 마지막으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건강 회복입니다. 충분한 휴식을 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