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2025-10-10 10:03:53

이석증이 아닌가봐요 도와주세요 ㅠㅠ

아침에 눈 떴을때 옆으로 누운 상태였고 먼가 시야가 도는 듯한 느낌이 들어 똑바로 누우니 천장이 미친듯이 돌다가 좀 괮찮아져 일어나 앉았고 1분내외 증상이 있었던것 같습니다

이후 열이 확 나면서 식은땀이 났고 이후에는 속이 너무 좋지 못해 점심까지도 제대로 뭘 먹지 못했어요

그러면서 머리 양쪽이 압이 찬듯? 조이는듯한 짜증나는 불편감이 계속되고 귀도 고산지대 올라가면 먹먹해지는 증상이 와서 이전에 지식인에 질문 올렸을때 모두 이석증으로 말씀해주셔서 오늘 이비인후과 갔어요

고글같은거 쓰고 검사 했는데 같이 간 저희 엄마는 바로 이석증이네요 라고 의사쌤이 말씀하셨는데 저는 잠깐 검사시에는 어지러운 느낌은 받지 못했고 쌤도 어지럽냐고 묻길래 어지럽지 않다 얘기하면서 이렇게 잠깐사이에는 안온다 옆으로 누어서 10초 이상 있어야 한다고 말씀드렸는데도 그냥 그 병원 방식의 룰??데로^^;; 검사끝내고 귀도 한번 보시더니 목디스크가 있냐 묻길래 있다고 했고 일단 이석치환술 알려주겠다며 알려주시면서 약간의 증상이 있는것 같은데 이석증으로 보기 어렵다는 뉘앙스??로 말씀하시며 일단 어지럽다고 하니 약 3일치 처방하겠다하고 끝났고 다음에 또 와라 이런말은 없었어요

저희 엄마는 다음주에 또 오라고 하셨는데..

근데 저는 .. 누워서 옆으로 고개 돌리면 울렁거리듯 어지럽고 머리가 조이듯이 압이 차는 느낌이 들어 너무 짜증나고 심지어 오늘은 누워있을때 눈 감고 떴는데 초록빛의 구불구불한 선이 일정간격으로 보이다가 사라지는 현상까지 나타났어요..

허리디스크 시술로 인해 한달 가까이 하루 70프로 정도 누워있었어서 그럼 이석증이 잘 생긴다는 주위 얘기를 듣기도 했고 지식인에서도 이석증과 유사하다고 해서 병원 갔는데 딱히.. 뭔가 없어 답답하네요

추가로 제가 갑상선기능항진증 약을 2달정도 복용중에 있는데 현재 저혈압까지 떨어진 상태인데 혹시 이것때문일까요?

아니라면 신경과를 가봐야 하나요.. 어딜 가야 하나요 ㅠㅠ

몇달째 깁상선에 허리디스크 시술에 병만 연달아 생기는것 같아 마음이 너무 힘드네요 ㅠㅠ

A
Dr.s Diagnosis
안녕하세요, 환자분의 증상에 대해 자세히 말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여러 가지 증상이 겹쳐 혼란스러우실 텐데, 차근차근 짚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이석증 가능성: * 아침에 옆으로 누웠을 때 시야가 도는 듯한 느낌, 천장이 미친 듯이 도는 증상은 이석증의 전형적인 증상과 유사합니다. * 하지만 이비인후과 검사에서 뚜렷한 소견이 없었고, 의사 선생님도 이석증으로 단정하기 어렵다는 의견을 주셨다는 점을 고려해야 합니다. * 이석증은 특정 자세에서 유발되는 어지럼증이 특징인데, 검사 당시에는 증상이 나타나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 자가 진단: 집에서 Epley (이석정복) 운동을 시도해볼 수 있습니다. 유튜브에 "Epley maneuver"를 검색하면 자세한 방법을 찾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목디스크가 있으시므로 반드시 주의해서 천천히 진행하시고, 통증이 느껴지면 즉시 중단해야 합니다. 2. 다른 가능성: * 기립성 저혈압: 누워 있다가 갑자기 일어날 때 혈압이 떨어지면서 어지럼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갑상선기능항진증 약 복용으로 저혈압이 심해진 경우 가능성이 높습니다. * 자가 진단: 누운 자세에서 혈압을 잰 후, 일어선 직후 혈압을 다시 측정하여 차이를 확인해볼 수 있습니다. * 대처: 천천히 일어나고, 물을 충분히 마시며, 짠 음식을 섭취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편두통: 머리 양쪽이 조이는 듯한 압박감, 울렁거림, 빛에 민감해지는 증상은 편두통과 유사합니다. * 자가 진단: 두통의 양상, 동반되는 증상 등을 기록하여 편두통 여부를 판단해볼 수 있습니다. * 대처: 충분한 휴식을 취하고, 스트레스를 줄이며, 편두통 유발 요인을 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시각성 어지럼증: 누워있을 때 눈을 감았다 떴을 때 초록빛의 구불구불한 선이 보이는 현상은 시각적인 문제로 인한 어지럼증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 목디스크: 목디스크로 인해 신경이 눌리면서 어지럼증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3. 추가 검사 및 진료: * 신경과 방문: 어지럼증의 원인을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 신경과 진료를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신경과에서는 뇌 MRI, 뇌파 검사 등을 통해 뇌의 이상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안과 방문: 시각적인 문제로 인한 어지럼증 가능성을 배제하기 위해 안과 검사를 받아보는 것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4. 갑상선기능항진증: * 갑상선기능항진증 약 복용으로 저혈압이 발생한 경우, 어지럼증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 내분비내과 전문의와 상담하여 약물 용량 조절 등을 상의하는 것이 좋습니다. 5. 심리적인 요인: * 연이은 질병으로 인해 심리적으로 힘든 상태인 것 같습니다. 스트레스, 불안, 우울감 등이 어지럼증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 필요하다면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와 상담하여 심리적인 어려움을 극복하는 데 도움을 받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6. 생활 습관: * 충분한 수면을 취하고, 규칙적인 식사를 하며, 스트레스를 줄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 어지럼증을 유발하는 자세나 행동을 피하고, 안전한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좋습니다. Disclaimer: 이 정보는 일반적인 의학적 조언이며, 개인적인 상황에 맞춘 진단이나 치료를 대체할 수 없습니다. 반드시 전문 의료진과 상담하여 정확한 진단과 치료 계획을 세우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