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2025-06-12 09:31:25

제가20대일때 뇌전증 판정되가지고속상하고

힘든일도잇엇고

가족들은저한테관심없는거같아서

뇌전증약20개먹엇고죽을려고햇습니다

엄마는저쓰러진거보고 응급실가서약물빼고왓는데

차라리죽게냅두지

결혼해서도힘들어서 죽고싶엇도 자식이잇어서

죽지도못하고잇습니다

지금도뇌전증약먹고죽을까하고잇습니다

A
Dr.s Diagnosis
경고: 뇌전증 약물을 과다 복용하는 것은 매우 위험하며 생명을 위협할 수 있습니다. 즉시 응급 의료 지원을 받으십시오. 글쓴이님의 글을 읽어보니 매우 힘든 시간을 보내고 계신 것 같아 마음이 아픕니다. 20대에 뇌전증 진단을 받으신 후 힘든 일도 많았고, 가족들에게서 충분한 지지를 받지 못한다고 느끼시는 점, 그리고 여러 번 극단적인 선택을 시도하셨던 점까지, 얼마나 고통스러우셨을지 감히 짐작하기 어렵습니다. 결혼 후에도 힘든 상황이 지속되고 자녀 때문에 극단적인 선택조차 쉽지 않은 상황에서, 현재 뇌전증 약을 이용해 다시 극단적인 생각을 하고 계신다는 점이 너무나 걱정됩니다. 지금 가장 중요한 것은 당신의 안전입니다. 1. 응급 의료 지원 요청: 즉시 119에 전화하거나 가까운 응급실을 방문하여 도움을 요청하십시오. 뇌전증 약물 과다 복용은 심각한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으며, 즉각적인 치료가 필요합니다. 2. 정신 건강 전문가 상담: 응급 상황이 진정된 후에는 반드시 정신 건강 전문가와 상담하십시오. 우울증, 불안, 자살 충동 등은 전문적인 치료를 통해 충분히 극복할 수 있습니다. 정신과 의사, 심리 상담사 등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3. 지지 체계 활용: 가족들에게 솔직하게 자신의 어려움을 이야기하고 도움을 요청하십시오. 만약 가족의 지지를 받기 어렵다면, 친구, 동료, 종교 단체 등 다른 지지 체계를 활용하십시오. 혼자 모든 것을 감당하려 하지 마십시오. 4. 뇌전증 관리: 뇌전증은 꾸준한 약물 치료와 생활 습관 관리를 통해 충분히 조절 가능한 질환입니다. 담당 의사와 상담하여 현재 복용 중인 약물의 효과와 부작용을 평가하고, 필요한 경우 약물 조절 또는 다른 치료 방법을 고려해 보십시오. 혼자가 아닙니다. 당신의 어려움을 이해하고 지지해 줄 사람들이 분명히 있습니다. 지금 당장은 희망이 보이지 않더라도, 포기하지 않고 도움을 요청하면 반드시 더 나은 미래를 만들 수 있습니다. 다시 한번 강조하지만, 지금 가장 중요한 것은 당신의 안전입니다. 즉시 응급 의료 지원을 받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