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2025-09-22 05:20:10

추가 명령, 처분

판결문을 읽고 있는데 '추가 명령'과 '처분'의 차이는 뭔가요? 둘은 같은 건가요?

형사처분에는 형벌, 보안처분, 보호처분이 있다고 하던데 여기서 말하는 '처분'은 형벌을 제외한 보안처분과 보호처분으로 봐도 될까요?

몰수는 형벌이니까 추가 명령과 처분은 아니죠?

모르는 게 많아서 자세히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ㅠㅜ 부탁드립니다!

A
Dr.s Diagnosis
안녕하세요. 판결문 용어에 대해 궁금하신 점이 있으시군요. '추가 명령'과 '처분'의 차이, 그리고 형사처분의 종류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1. '추가 명령'과 '처분'의 차이 * 처분: 일반적으로 법률 행정에서 어떤 행위의 결과로 발생하는 법적 효과나 조치를 의미합니다. 판결에서는 재산형, 징역형 등의 주된 형벌 외에 부가적으로 내려지는 조치를 넓게 아울러 이르는 말입니다. * 추가 명령: '처분'의 한 종류로 볼 수 있습니다. 판결의 주된 내용 외에 추가적으로 이행해야 할 사항을 구체적으로 명시하는 명령입니다. 예를 들어, 특정 교육 프로그램 이수 명령, 사회봉사 명령 등이 추가 명령에 해당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추가 명령'은 '처분'의 하위 개념으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모든 추가 명령은 처분에 해당하지만, 모든 처분이 추가 명령인 것은 아닙니다. 2. 형사처분의 종류와 '처분'의 의미 형사처분은 크게 형벌, 보안처분, 보호처분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질문하신 내용처럼, 여기서 말하는 '처분'은 일반적으로 형벌을 제외한 보안처분과 보호처분을 의미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형벌: 범죄에 대한 국가의 제재로, 징역, 금고, 벌금, 구류, 과료, 몰수 등이 있습니다. * 보안처분: 재범의 위험성이 있는 사람에 대해 사회 방위를 목적으로 부과하는 처분입니다. 예를 들어, 치료감호, 위치추적 전자장치 부착 명령 등이 있습니다. * 보호처분: 소년범에 대해 건전한 성장과 발달을 돕기 위해 부과하는 처분입니다. 예를 들어, 사회봉사 명령, 보호관찰 명령, 소년원 송치 등이 있습니다. 3. 몰수의 성격 몰수는 범죄 행위로 얻은 이득이나 범죄에 사용된 물건을 박탈하는 형벌의 일종입니다. 따라서 몰수는 '추가 명령'이나 '처분'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예시를 통한 이해 예를 들어, 판결문에서 다음과 같은 내용을 보셨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 "피고인을 징역 1년에 처한다." (주된 형벌) * "피고인에게 80시간의 사회봉사를 명한다." (추가 명령, 보호처분에 해당) * "피고인이 소지한 마약 및 마약 흡입 도구를 몰수한다." (형벌에 해당) 이 경우, 징역 1년은 주된 형벌이고, 사회봉사 명령은 추가 명령이자 보호처분에 해당하며, 마약 및 흡입 도구 몰수는 형벌에 해당합니다. 주의사항 법률 용어는 문맥에 따라 의미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정확한 의미는 해당 판결문의 전체 내용과 관련 법률 조항을 함께 살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만약 법률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하다면 변호사와 상담하시는 것을 권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