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2025-06-11 07:55:55

손가락 골절 이후 통증

안녕하세요. 24년 12월 말에 네번째 손가락 첫번째 마디쪽 손가락이 골절되었습니다. 치료를 받은 후인 현재에도 골절되었던 부분이 꺾이거나 무게가 실리면 통증이 있습니다..ㅠㅠㅠ

골절이 나았어도 이 통증은 평생 가지고 가야하는 부분인가요? 병원을 가야하나요?ㅠㅠㅠㅠㅠ

A
Dr.s Diagnosis
안녕하세요. 손가락 골절 후 통증으로 걱정이 많으시겠네요. 2023년 12월 말에 골절되셨으니, 시간이 꽤 흘렀음에도 통증이 지속되는 상황이시군요. 몇 가지 가능성과 대처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안내해 드릴게요. 1. 골절 부위의 완전한 회복 여부 확인: * 불유합 (Nonunion): 골절된 뼈가 완전히 붙지 않고, 섬유성 조직으로 연결된 상태일 수 있습니다. 이 경우, 뼈가 불안정하여 지속적인 통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지연 유합 (Delayed Union): 뼈가 붙는 속도가 느린 경우입니다. 뼈가 완전히 붙기까지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2. 주변 조직의 손상 및 염증: * 인대 손상: 골절 당시 인대도 함께 손상되었을 수 있습니다. 인대는 뼈를 연결하는 중요한 구조물로, 손상 시 불안정성과 통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힘줄 손상: 손가락을 움직이는 힘줄에 염증이나 손상이 발생했을 수 있습니다. * 신경 손상: 골절 부위 주변의 신경이 손상되어 만성적인 통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3. 관절의 문제: * 관절 강직: 골절 후 고정 기간 동안 관절이 굳어 움직임이 제한되고 통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외상성 관절염: 골절로 인해 관절 연골이 손상되어 관절염이 발생했을 수 있습니다. 4. 기타: * 반흔 조직: 골절 부위에 형성된 흉터 조직이 주변 조직을 압박하여 통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복합 부위 통증 증후군 (CRPS): 드물지만, 골절 후 발생하는 만성적인 신경병성 통증입니다. 병원 방문 여부: 현재 통증이 지속되고 일상생활에 불편함을 느낀다면, 반드시 병원을 방문하여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정형외과 전문의와 상담하여 X-ray 촬영, MRI 검사 등을 통해 골절 유합 상태, 인대/힘줄 손상 여부, 관절 상태 등을 확인해야 합니다. 병원 방문 전 준비: * 통증의 정도, 시기, 악화 요인 등을 자세히 기록해 두세요. * 과거 치료 내역 (깁스 기간, 재활 치료 여부 등)을 정리해 가세요. * 현재 복용 중인 약물이 있다면 목록을 준비하세요. 통증 완화를 위한 자가 관리: 병원 방문 전까지 통증 완화를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을 시도해 볼 수 있습니다. * 휴식: 손가락 사용을 최소화하고 충분한 휴식을 취하세요. * 냉찜질: 통증 부위에 15~20분씩 냉찜질을 해주세요. * 온찜질: 혈액순환을 촉진하고 근육 이완을 위해 온찜질을 해주세요. * 진통제: 필요시 약국에서 판매하는 일반 진통제를 복용하세요. (단, 의사/약사와 상담 후 복용) * 가벼운 스트레칭: 통증이 없는 범위 내에서 손가락을 부드럽게 움직여 주세요. 주의사항: * 통증이 심하거나, 손가락 색깔이 변하거나, 감각이 없어지는 경우에는 즉시 응급실을 방문하세요. * 민간요법이나 검증되지 않은 치료법은 피하세요. 마무리: 손가락 골절 후 통증은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정확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를 통해 통증을 완화하고 손가락 기능을 회복할 수 있으니, 너무 걱정하지 마시고 병원을 방문하여 상담받아보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