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2025-09-07 10:02:19

10 년 이상 매일 사다 먹어 전부는 아니지만 편의점 및 음식점 마다 상상을 초월한 잦은...

10 년 이상 매일 사다 먹어 전부는 아니지만 편의점 및 음식점 마다 상상을 초월한 잦은 음식물 이물질 비위생 유통 기한 초과 등 관련 하여 응급실에 여러번 실려가 죽다 살아난 적이 있어 이제 건강과 위생 생명에 직결 되어 있는 비위생 이물질 유통 기한 초과 등 관련하여 자주 고발 하게 되면 법적으로 문제 될수 있나요

제가 간헐적이 아닌 10 년 넘게 매일 삼식 세때 끼니를 나가서 사다 먹는데

먹다 보면 전부는 아니지만 대중 음식점이고 편의점이고 머리 카락 똥 파리 생선 포장 했었던 종이 그릇 실 뭉치 등 이물질이 빈번 하게 발견이 되어

이제는 도무지 않되어 관할 지자체에다 고발 조치 및 민원 제기 하게 하면

관할 지자체에서도 직접 증거 확정적 증거 및 위생법 위반 사항인데도 행정 처분 및 과태료를 하지 않을때가 많고 마중 못해 처분 합니다

그런데 제 같은 경우는 매일 삼식 세때 끼니를 10 년 넘게 나가서 사다 먹어

어떨땐 3 차 기관 응급실에 실려 갔었던 적이 한 두번이 아니어서 (이것 않 겪어 본 사람 모름 , 채소 보다 육고기 해산물 먹고 식중독 일으키면 거의 죽는다고 봐야 됨 휴유증도 남고 이후 10 년간 아무리 많이 먹어도 살도 잘 않찜 겁 남)

2002 년 9 월 , 2012 년 1 월 , 2015 년 1 월 말 등 거의 죽다 살아난 적이 (3 차 기관 대학 병원 응급실 진료 기록지 등 다 있음)

이제는 휴대폰을 사용 하는 척 하면서 개인 정보 보호법상 저만 나오게

휴대폰 등으로 동영상 촬영 및 녹음 하면서 먹어야 되고 (할짓이 아님) 무조건 고발 조치를 취합니다

그런데 어떤 제조업체 고객 센터에서는 어떤 고객은 법을 이리 저리 알아 보고서는 300 만원을 요구 하더라 면서 나중에 보험 회사 끼리 연결이 되어 있어

이번이 처음이 아니라 이 앞전에도 어떤 고발 건으로 합의금을 받은 이력이 있었다며 저를 아주 기분 나쁘게 빗대어서 말하는 것이었읍니다

하지만 저는 가끔씩 나가서 사다 먹는게 아니라 10 년 넘게 신용 카드로 매일 삼식 세때 끼니를 주문 및 사다 먹다 보면 (한달에 식대비만 평균 약 124 만원이 나옴)

그야말로 쓰레기 음식일때도 있고 누가 딱 봐도 확연하게

제가 악의적으로 조작 및 잡아 넣은 것이 아니라 가게 내부 cc 카메라 설치 되어 있고

확연하게 제 머리 카락이 아니다는 것을 (완전 곱슬 머리 임 , 이제는 나이 56 세에 머리 카락에 염색 하고 제 머리 카락이 아니다는걸 다닐까 싶음) 담당 지자체 공무원들도 인지 하게 되는데

이것이 사먹을때 마다 가끔씩이 아닌 1 년에 전부는 아니지만 식당이고 편의점이고 여러차례 발견 되는데

이럴때는 잦은 고발 조치 하게 되면 제가 법적으로 문제가 될수 있나요 (거짓말 탐지기 까지 동의 함)

고발 조차 않하게 되면 그럼 극심한 고통과 피해 당하고 살아야 되나요 이건 아니 잖아요

만약에 제가 조작 및 허위 사실 , 거짓이 아닌 사실의 적시 해서 진실일 경우

제가 심적 정신적 경제적 등 이중으로 고통 받기 때문에

제조원 및 판매처 , 사업주 , 고객 센터 , 등 무고죄 등 이것 마저 이젠 손해 배상 창구 등 진행 할까 싶어요

A
Dr.s Diagnosis
안녕하세요. 10년 이상 매일 식사를 외부에서 해결하시면서 겪으신 어려움에 대해 말씀해주셨네요. 음식물 이물질, 비위생, 유통기한 초과 등으로 인한 건강 문제와 잦은 고발에 대한 법적 문제에 대해 걱정하시는 점을 충분히 이해합니다. 1. 잦은 고발의 법적 문제: * 정당한 고발: 질문자님께서 겪으신 상황은 식품위생법 위반에 해당하며, 이를 관할 지자체에 신고하는 것은 소비자의 정당한 권리 행사입니다. 따라서, 사실에 근거하여 증거를 확보하고 고발하는 경우 법적으로 문제 될 가능성은 매우 낮습니다. * 악의적인 고발: 만약 허위 사실을 유포하거나, 악의적으로 업체를 괴롭힐 목적으로 고발하는 경우에는 명예훼손, 업무방해 등의 혐의로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질문자님의 경우, 실제 이물질 발견, 식중독 경험 등 객관적인 사실에 근거하고 있으므로 악의적인 고발로 보기 어렵습니다. * 합의금 요구: 과거 합의금을 받은 이력이 있다는 이유로 질문자님을 잠재적 범죄자 취급하는 것은 부당합니다. 정당한 피해에 대한 보상을 요구하는 것은 당연한 권리이며, 이를 문제 삼는 것은 오히려 질문자님의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입니다. 2. 향후 대처 방안: * 증거 확보: 앞으로도 음식점에서 이물질을 발견하거나, 위생 문제를 발견하면 사진, 동영상 등 객관적인 증거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식중독으로 응급실에 실려 간 경우 진료 기록지를 보관하여 증거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 고발 절차: 증거를 확보한 후에는 관할 지자체 식품위생과에 신고하거나, 국민신문고를 통해 민원을 제기할 수 있습니다. * 법적 자문: 잦은 고발로 인해 법적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우려된다면, 변호사와 상담하여 법적 자문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 정신적 스트레스 관리: 지속적인 음식 관련 문제로 인해 정신적인 스트레스가 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와 상담하여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도 고려해 보시기 바랍니다. 필요하다면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심리적인 안정과 건강을 되찾으시길 바랍니다. 3. 추가 조언: * 식습관 변화: 10년 이상 외부 음식을 섭취하면서 건강 문제를 겪으셨으므로, 식습관을 개선하는 것을 고려해 보세요. 직접 음식을 만들어 먹거나, 믿을 수 있는 식당을 찾아 이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 블랙 컨슈머: 질문자님께서는 정당한 권리 행사를 하고 계시지만, 일부 업체에서는 질문자님을 블랙컨슈머로 오해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고발 시 감정적인 대응을 자제하고, 객관적인 사실에 근거하여 차분하게 문제를 제기하는 것이 좋습니다. 중요: 위 내용은 일반적인 법률 및 의학 정보에 기반한 것이며, 구체적인 사안에 대한 법적 판단은 변호사와 상담하여 결정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