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2025-04-30 13:35:17생1 각성제 원리
각성제의 원리가 궁금해서 찾아보니 ”시냅스에서 신경전달물질의 재흡수나 분해를 억제하여 중추신경과 말초신경을 흥분시킴으로써 긴장을 유지한다.“ 라는 말을 보았습니다.
— 이 문구에서 신경전달물질의 재흡수를 억제하는데 왜 흥분이 유지되나요?
제가 헷갈리는점은 신경전달물질을 시냅스이전뉴런에서 재흡수하면 보내는 전달물질이 많아지니깐 재흡수를 함으로써 흥분이 유지되는거 아닌지 헷갈립니다.
A
Dr.s Diagnosis안녕하세요. 각성제 원리에 대한 질문 주셨네요. 이해를 돕기 위해 자세히 설명해 드릴게요.
신경전달물질 재흡수 억제와 흥분 유지의 관계
* 기본 원리: 신경세포(뉴런) 사이의 신호 전달은 시냅스라는 공간에서 신경전달물질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신경전달물질이 시냅스 이전 뉴런에서 분비되어 시냅스 이후 뉴런의 수용체에 결합하면 신호가 전달됩니다. 이후, 신경전달물질은 다시 시냅스 이전 뉴런으로 재흡수되거나 분해되어 신호 전달이 멈추게 됩니다.
* 각성제의 역할: 각성제는 신경전달물질의 재흡수를 억제합니다. 즉, 시냅스에 분비된 신경전달물질이 다시 뉴런으로 흡수되지 못하게 막는 것이죠. 이렇게 되면 시냅스에 신경전달물질이 더 오래, 더 많이 남아있게 되어 시냅스 이후 뉴런의 수용체에 계속 결합하여 신호 전달이 지속됩니다. 결과적으로 신경계가 계속 흥분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입니다.
* 예시: 도파민은 쾌감, 동기 부여와 관련된 신경전달물질입니다. 코카인과 같은 각성제는 도파민의 재흡수를 억제하여 시냅스에 도파민이 계속 남아있게 합니다. 이로 인해 쾌감이 지속되고 각성 효과가 나타나는 것입니다.
혼동을 느낀 부분에 대한 설명
신경전달물질을 재흡수하면 보내는 전달물질이 많아지는 것이 아니라, 반대로 시냅스에 남아있는 전달물질의 양이 줄어들게 됩니다. 재흡수는 신호 전달을 멈추게 하는 과정입니다. 각성제는 이 재흡수 과정을 막아서 신호 전달이 계속 일어나도록 하는 것입니다.
이해가 되셨나요? 더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지 질문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