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2025-06-29 10:01:11

생2 코돈과 안티코돈 표기가 궁금해요

제가 생2 수업할 때 잠깐 멍때리고 적어서 맞는건지 모르겠는데 맞나요..?

3번 문제입니다

A
Dr.s Diagnosis
안녕하세요! 생2 코돈과 안티코돈 표기에 대한 질문 주셨네요. 3번 문제에 대한 코돈과 안티코돈 표기가 맞는지 확인해보고, 추가적인 설명과 예시를 들어서 자세히 알려드릴게요. 3번 문제 풀이: * mRNA 코돈: mRNA에 나타난 코돈 서열은 문제에서 주어진 대로 5'-GCA-3'가 맞습니다. * tRNA 안티코돈: tRNA는 mRNA의 코돈과 상보적으로 결합하므로, 안티코돈은 mRNA 코돈의 서열에 맞춰서 결정해야 해요. GCA 코돈에 상보적인 안티코돈은 3'-CGU-5'가 되어야 합니다. tRNA는 3'에서 5' 방향으로 읽기 때문에, 안티코돈 서열은 3'-CGU-5'로 표기하는 것이 올바릅니다. 즉 작성하신 답은 5' UCG 3' 이므로 틀렸습니다. 코돈과 안티코돈의 기본 개념: * 코돈 (Codon): mRNA (messenger RNA) 상의 3개의 염기 서열을 의미하며, 특정 아미노산을 지정하거나 번역의 시작 또는 종료를 알리는 신호로 작용합니다. 예를 들어, AUG는 메티오닌(Methionine)이라는 아미노산을 지정하는 동시에 번역 시작 신호로도 사용됩니다. * 안티코돈 (Anticodon): tRNA (transfer RNA) 분자에 존재하는 3개의 염기 서열로, mRNA의 코돈과 상보적으로 결합하여 해당 코돈이 지정하는 아미노산을 리보솜으로 운반하는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mRNA 코돈이 5'-GUA-3'라면, tRNA의 안티코돈은 3'-CAU-5'가 됩니다. 방향성 (5' → 3'): * mRNA와 tRNA의 서열은 항상 5'에서 3' 방향으로 읽습니다. 따라서 코돈은 5'에서 3' 방향으로, 안티코돈은 3'에서 5' 방향으로 표기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 다만, tRNA와 mRNA의 결합 시 상보적인 염기끼리 정확하게 대응하기 위해서는 방향성을 고려하여 안티코돈을 표기해야 합니다. 상보적 결합 예시: | mRNA 코돈 (5' → 3') | tRNA 안티코돈 (3' → 5') | |---|---| | AUG | UAC | | GCA | CGU | | UUC | AAG | | GGG | CCC | 참고: * 코돈과 안티코돈의 서열을 결정할 때는 A-U, G-C의 상보적 염기쌍 규칙을 정확히 적용해야 합니다. * tRNA는 mRNA의 코돈을 인식하여 해당 아미노산을 운반하므로, 코돈-안티코돈 결합은 단백질 합성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단계입니다. 이 외에도 더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지 질문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