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2025-05-19 08:36:56

이 찌릿찌릿

10~11살쯤부터 쭉 왼쪽 위 어금니가 찌릿찌릿해요. 거의 8년됐네요. 애기때도 너무 아파서 이 다 파봤는데 충치가 없었어요. 치과에서 신경치료 하자고 햇는데 신경치료는 안하고 지금 대충 살고 있는데요. 4개월 쯤전에 바로 아래 이를 씌우면서 왼쪽 위 어금니도 다듬었는데 그때부터 다시 자주 찌릿찌릿해요. 온몸이 잠깐 찌릿햇다가.. 그래서 2개월 전쯤 치과를 갔는데 충치는 없다고 하셨어요. 뭐가 문제일까요? 근데 교정하면서 왼쪽 위 어금니를 발치할때도 마취 몇 번 넣었는데도 안 들어서 고문 당하는 기분으로 발치했는데 이거랑 연관이 있나요??

A
Dr.s Diagnosis
안녕하세요. 8년 동안 왼쪽 위 어금니의 찌릿한 증상으로 고생하고 계시는군요. 신경치료 권유를 받았지만 받지 않으셨고, 최근 치아를 다듬은 후 증상이 심해졌다고 하니 걱정이 많으실 것 같습니다. 가능성 있는 원인: * 삼차 신경통: 삼차 신경은 얼굴 감각을 담당하는 신경으로, 이 신경에 문제가 생기면 찌릿하거나 칼로 찌르는 듯한 통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질문자님의 경우, 교정 발치 시 마취가 잘 안 되었던 경험과 연관성이 있을 수 있습니다. 삼차 신경통은 특정 부위를 건드릴 때, 또는 갑작스러운 온도 변화에 의해 유발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양치질을 하거나 찬바람을 쐬었을 때 통증이 심해질 수 있습니다. * 비정형 치통: 충치나 잇몸 질환 없이 치아에 통증이 느껴지는 경우입니다. 스트레스, 불안, 우울증과 같은 심리적인 요인이 원인이 될 수 있으며, 턱관절 문제나 이갈이 습관도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질문자님의 경우, 8년 동안 통증이 지속된 점을 고려할 때 비정형 치통의 가능성도 있습니다. * 치아 미세 균열: 눈에 보이지 않는 미세한 균열이 치아에 생겨 통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특히 어금니는 씹는 힘을 많이 받는 부위이므로 균열이 생기기 쉽습니다. 뜨겁거나 찬 음식을 먹을 때, 또는 씹을 때 통증이 느껴질 수 있습니다. * 신경 손상: 교정 발치 시 마취가 잘 되지 않았던 경험으로 미루어보아, 신경 손상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습니다. 신경 손상은 발치 과정에서 신경이 압박되거나 손상되어 발생할 수 있으며, 만성적인 통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진단 및 치료: 1. 정밀 검진: 치과에서 파노라마 X-ray, CT 촬영 등을 통해 치아와 주변 조직의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해야 합니다. 필요하다면 신경과 협진을 통해 삼차 신경통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2. 치료: 원인에 따라 치료 방법이 달라집니다. * 삼차 신경통: 약물 치료 (항경련제 등), 신경 차단술, 수술적 치료 등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 비정형 치통: 스트레스 관리, 이갈이 방지 장치, 약물 치료 (항우울제, 진통제 등) 등을 시도해볼 수 있습니다. * 치아 미세 균열: 균열이 심하지 않은 경우, 레진 치료나 크라운 치료를 통해 치아를 보호할 수 있습니다. * 신경 손상: 신경 손상 정도에 따라 약물 치료, 물리 치료, 수술적 치료 등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병원 방문 전 준비: * 통증의 양상, 빈도, 강도, 유발 요인 등을 자세히 기록해두세요. * 과거 병력, 복용 중인 약물, 알레르기 여부 등을 미리 정리해두세요. * 궁금한 점이나 걱정되는 부분을 질문 목록으로 만들어 가세요. 주의 사항: * 자가 진단은 정확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반드시 치과에 방문하여 정확한 진단을 받으세요. * 신경치료는 치아를 살리는 마지막 방법이 될 수 있으므로, 신중하게 결정하세요. * 통증이 심할 경우, 진통제를 복용하여 통증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 Disclaimer: This information is not intended to be a substitute for professional medical advice. Always seek the advice of a qualified healthcare provider for any questions you may have regarding a medical cond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