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2025-09-10 00:07:23아파트 거주중인데요. 아랫층 쪽에서 그러는건지.. 바닥...
아파트 거주중인데요. 아랫층 쪽에서 그러는건지.. 바닥에 누워서 자면 진동이 와서 너무 힘드네요. 처음에는 느린진동 으로 시작해서 빠른 진동으로 바뀌는데.. 빠른 진동으로 바뀌면 몸이 전기 오는것 같고 얼얼해지더라고요. 느린 진동일때는 집 벽 같은 곳에서 뚝뚝 끊기는 소리들리고요. 윗층은 일부러 발망치 소리도 내고 .. 쇳덩이 떨어뜨리는 소리 들리고.. 어떤 때는 등이 갑자기 뜨거워지기도 하고. 이 진동은 뭘로 하는건가요? 도대체?
A
Dr.s Diagnosis아파트에서 겪고 계시는 진동과 소음 문제로 불편함이 크시겠네요. 층간 소음과 진동은 삶의 질을 크게 저하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겪고 계시는 증상들을 바탕으로 몇 가지 가능성을 생각해보고,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 자세히 안내해 드릴게요.
진동의 원인 가능성:
1. 건물 구조적 문제: 오래된 아파트나 부실 시공된 아파트의 경우, 건물의 구조적인 문제로 인해 진동이 쉽게 전달될 수 있습니다. 특히 바닥 슬래브가 얇거나, 벽체의 연결이 부실한 경우 진동이 더 심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 예시: 오래된 아파트에서 리모델링 공사를 할 때, 벽을 허물거나 바닥을 들어내는 과정에서 건물 전체에 진동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2. 층간 소음: 윗층의 발망치 소리나 물건 떨어뜨리는 소리 등 직접적인 충격음은 아랫층에 진동으로 전달될 수 있습니다. 특히 딱딱한 바닥재(마루, 타일 등)를 사용하는 경우 소음과 진동이 더욱 심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 예시: 아이들이 뛰어놀거나, 운동기구를 사용하는 경우 아랫층에 소음과 진동이 심하게 전달될 수 있습니다.
3. 기계 설비: 아파트 내의 기계 설비(보일러, 에어컨 실외기, 환풍기 등)의 진동이 벽이나 바닥을 타고 전달될 수 있습니다. 특히 노후된 설비나 설치 불량인 경우 진동이 더욱 심하게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예시: 오래된 보일러가 작동할 때, 굉음과 함께 진동이 발생하여 아랫층에 전달될 수 있습니다.
4. 외부 요인: 아파트 주변의 공사장, 지하철, 기차 등의 외부 요인으로 인해 진동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아파트가 이러한 시설과 가까운 경우 진동이 더 심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 예시: 아파트 옆에서 지하철 공사를 하는 경우, 발파 작업이나 중장비 사용으로 인해 아파트 전체에 진동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대처 방법:
1. 진동 측정: 전문 업체를 통해 진동의 크기와 주파수를 측정하여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진동 측정 결과를 바탕으로 문제 해결 방안을 모색할 수 있습니다.
2. 관리사무소 협조: 아파트 관리사무소에 진동 문제를 알리고, 함께 원인을 파악하고 해결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좋습니다. 관리사무소는 층간 소음 중재, 설비 점검 등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3. 윗층과 대화: 윗층에 정중하게 진동 문제를 알리고, 서로 이해하고 배려하는 자세로 해결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층간 소음 매트 설치, 생활 습관 개선 등을 통해 진동을 줄일 수 있습니다.
4. 법적 조치: 대화로 해결이 어려운 경우, 법적 조치를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층간 소음 분쟁 조정 위원회에 조정을 신청하거나, 민사 소송을 제기할 수 있습니다.
5. 개인적인 노력: 우선 개인적으로 할 수 있는 조치를 취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바닥에 두꺼운 매트나 이불을 깔아 진동을 흡수하고, 귀마개를 착용하거나 백색 소음을 이용하여 진동으로 인한 불편함을 줄일 수 있습니다.
추가적으로 고려할 사항:
* 건강 상태: 지속적인 진동과 소음은 스트레스, 수면 장애, 불안 증상 등 다양한 건강 문제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필요하다면 정신과 전문의와 상담하여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 전기적 느낌: 몸이 전기 오는 것처럼 얼얼해지는 느낌은 심리적인 요인과 관련될 수 있습니다. 지속적인 스트레스나 불안은 신체 감각을 과민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겪고 계시는 문제가 하루빨리 해결되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