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2025-10-10 09:54:18

치경부마모증 치아 패임 치통 관련 질문

찬물 마시면 이가 너무 시리고 아파서 병원에 갔는데 어금니 옆부분이 살짝 파여있습니다 가서 엑스레이도 찍고 바람도 불어봤는데 아주 살짝 파여있다고.. 충치는 없는데 이 파인것때문에 시릴거라고 약물 도포 치료나 레진으로 떼워야하는데 약물도 자주해야돼서 바로 낫지는 않을거고 레진은 패인부분이 너무 얕아서 금방 떨어질거라고 비추했습니다 ㅜ 그래서 그냥 넘어갔는데 며칠후 찬물이 아니라 그냥 가만히 있어도 이가 너무 아픕니다 ㅜ 치과에서는 패임이 약하니 약물도포를 해보자고 하는데 일주일에 두세번.. 시간이 없어요 어떡하면 될까요 그냥 진통제 먹고 시린이 치약이랑 불소도포 이런거 사서 쓰다보면 나아지나요? 돌겠어요 너무 아파요 ㅜㅜ 아님 다른 병원에서 gi인가 그걸로 떼우는게 나을까요 제발 좀 알려주세요 ㅜㅠㅠㅠㅠ

A
Dr.s Diagnosis
안녕하세요. 치경부 마모증으로 인한 치통 때문에 고생이 많으시군요. 병원에서 권하는 치료법이 마음에 들지 않아 답답한 심정이 이해됩니다. 현재 겪고 계신 증상과 치료 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 드리고, 몇 가지 추가적인 조언을 드리겠습니다. 1. 치경부 마모증이란? 치경부 마모증은 잇몸과 치아 경계 부위, 즉 치아의 목 부분(치경부)이 닳아서 패이는 현상입니다. 주된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 잘못된 칫솔질: 너무 강한 힘으로 가로 방향으로 칫솔질을 하면 치아의 약한 부위가 마모될 수 있습니다. * 산성 음식 섭취: 탄산음료, 과일 주스, 식초 등 산성 음식을 자주 섭취하면 치아 표면이 부식되어 마모가 촉진될 수 있습니다. * 이갈이 또는 이 악물기: 수면 중이나 무의식적으로 이를 갈거나 악무는 습관은 치아에 과도한 힘을 가해 치경부 마모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 구강 건조증: 침은 치아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데, 침 분비가 부족하면 치아가 산에 더 취약해져 마모가 쉽게 일어날 수 있습니다. 2. 치경부 마모증의 증상 * 시린 증상: 찬물, 찬바람, 신맛 등에 노출되면 이가 시린 느낌이 들 수 있습니다. * 치통: 심한 경우 가만히 있어도 욱신거리는 통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치아 패임: 잇몸과 치아 경계 부위에 V자 모양으로 패인 부분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치료 방법 * 약물 도포 (불소 바니쉬): 치아 표면에 불소 성분을 발라 치아를 강화하고, 시린 증상을 완화하는 방법입니다. 효과가 일시적일 수 있으며, 자주 반복해야 하는 단점이 있습니다. * 레진 치료: 패인 부분을 레진이라는 치과용 재료로 메워 시린 증상을 없애고, 추가적인 마모를 막는 방법입니다. 패인 부위가 얕으면 레진이 잘 떨어질 수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 GI (글라스 아이오노머) 치료: 레진과 유사하게 패인 부분을 메우는 재료이지만, 레진보다 접착력이 좋고 불소 방출 효과가 있어 충치 예방에도 도움이 됩니다. 다만, 레진에 비해 강도가 약하고 심미성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 신경 치료: 치경부 마모가 심해 신경까지 노출된 경우, 신경 치료 후 크라운을 씌워 치아를 보호해야 할 수 있습니다. 4. 환자분의 상황에 대한 조언 * 통증 완화: 현재 통증이 심하다면 진통제를 복용하여 통증을 조절하는 것이 좋습니다. 시린이 치약과 불소 용액을 사용하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GI 치료 고려: 레진이 떨어질 가능성이 높다면, GI 치료를 고려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GI는 레진보다 접착력이 좋고 불소 방출 효과도 있어 치아 건강에 더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다른 치과에 방문하여 GI 치료 가능성을 상담해 보세요. * 근본적인 원인 해결: 치경부 마모증의 원인을 파악하고 개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칫솔질 방법을 교정하고, 산성 음식 섭취를 줄이며, 이갈이 습관이 있다면 마우스피스 착용을 고려해 보세요. * 정기적인 검진: 치과에 정기적으로 방문하여 치아 상태를 점검하고, 필요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5. 추가적으로 해볼 수 있는 방법 * 부드러운 칫솔 사용: 칫솔모가 부드러운 칫솔을 사용하여 치아에 가해지는 자극을 줄이세요. * 올바른 칫솔질: 칫솔질은 부드럽게, 잇몸에서 치아 방향으로 쓸어 올리듯이 닦으세요. * 구강 청결 유지: 치실이나 치간 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