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2025-07-25 10:51:06잇몸에 염증이 나면 무조건 발치해야 하나요?
신경치료 한 이가 있습니다.
한 7년 되었는데, 점점 욱씬거리더니 (이 때 며칠 약 먹으면 괜찮아짐.) 어느날 커다란 고름이 생겨서 치과에 방문하였습니다.
잇몸 치료는 다 했고요, 의사 선생님이 전에 신경치료 후 발치를 해야한다고 했던 이빨이라고 하길래 임플란트를 하라는 건가 싶어 이를 뽑아야 하냐고 물어봤습니다.
일단 다음주에 와보라고 하시더라고요.
물론 필요하다면 임플란트를 해야되겠지만, 잇몸 염증이 생기면 무조건 발치인가 싶어서요.
잇몸 치료 후 현재는 아프지 않는데 발치할 가능성이 높을까요?
A
Dr.s Diagnosis안녕하세요, 잇몸 염증 때문에 걱정이 많으시겠네요. 잇몸 염증이 있다고 해서 무조건 발치를 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몇 가지 고려해야 할 사항들이 있습니다.
1. 신경치료 후 7년 된 치아의 상태:
* 신경치료를 받은 치아는 시간이 지나면서 재감염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특히, 신경관이 복잡하거나, 미세한 균열이 있는 경우, 또는 과거 신경치료가 완벽하게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는 재감염 위험이 높아집니다.
* 재감염된 경우, 잇몸에 염증이 생기고 고름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2. 잇몸 치료 후 증상:
* 잇몸 치료 후 통증이 사라졌다고 해서 문제가 완전히 해결된 것은 아닐 수 있습니다. 염증의 원인이 남아있다면 재발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 치과에서 다음 주에 다시 진찰을 받으라고 한 것은, 잇몸 치료 후 경과를 지켜보고, 추가적인 검사 (예: X-ray 촬영)를 통해 치아 내부의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함일 것입니다.
3. 발치 가능성:
*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발치 가능성이 높습니다.
* 치아 뿌리 끝에 염증이 심한 경우: X-ray 촬영 결과, 치아 뿌리 주변 뼈가 많이 녹아내린 경우 발치 가능성이 높습니다.
* 치아에 금이 간 경우: 신경치료 후 치아가 약해진 상태에서, 씹는 힘에 의해 금이 간 경우 발치를 고려해야 할 수 있습니다.
* 재신경치료의 성공 가능성이 낮은 경우: 과거 신경치료가 제대로 되지 않았거나, 신경관이 막혀있는 경우 재신경치료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 반면에,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발치를 하지 않고 치료를 시도할 수 있습니다.
* 잇몸 염증이 경미한 경우: 잇몸 치료와 함께 약물 치료, 필요에 따라 재신경치료를 통해 염증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 치아 뿌리 끝 염증이 작고, 재신경치료 성공 가능성이 높은 경우: 현미경을 이용한 정밀한 재신경치료를 통해 치아를 살릴 수 있습니다.
4. 추가적으로 고려할 점:
* 치과 의사와의 상담: 현재 상태에 대한 정확한 진단과 치료 계획은 치과 의사와의 상담을 통해 결정해야 합니다. X-ray 촬영 결과와 구강 검진 결과를 바탕으로, 발치 여부와 임플란트 가능성에 대해 자세히 상담받으시길 바랍니다.
* 다른 치과의사의 의견: 필요하다면 다른 치과의사에게도 진료를 받아보시고, 다양한 의견을 들어보는 것도 좋습니다.
* 임플란트 외 다른 치료 방법: 발치 후 임플란트 외에 브릿지, 틀니 등의 다른 치료 방법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각각의 장단점을 비교해보고 본인에게 맞는 치료 방법을 선택하시길 바랍니다.
결론적으로, 잇몸 염증이 있다고 해서 무조건 발치를 해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치아의 상태와 염증의 정도에 따라 발치 가능성이 달라집니다. 다음 주에 치과에 방문하여 정확한 진단을 받으시고, 담당 의사 선생님과 충분히 상담하여 최선의 치료 방법을 결정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