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2025-09-08 02:01:45급해요! 근로자성 입증과정 중 회사 측 손해보상 민사소송
안녕하세요
프리랜서 디자이너로 재택근무로 3년 일 5시간 주5일 근무했습니다.
해고 당해서 퇴직금 미지급 관련 근로자성 판단을 위해 노동부에 진정서 넣은 상황입니다.
감독관님은 합의를 독려하는데 회사에서 연락 와서 다시 일하라고 했고
저는 지금 상황 때문에 당장 답변드리기가 힘들다 이 부분 먼저 정리하고
좋은 방향으로 이야기했으면 좋겠다 라고 말했습니다.
그랬더니 퇴직금은 법적으로 판단 받을거고 그거와 별개로 제가 회사에 손해를 준 부분에 대하여
민사소송을 건다고 연락왔습니다.
소송이 성립될까요? 제가 생각했을 땐 인쇄물 오타 정도가 전부일 것 같은데 도움 좀 부탁드립니다..
A
Dr.s Diagnosis프리랜서 디자이너로 3년간 재택근무를 하셨고, 해고 후 퇴직금 미지급 문제로 노동부에 진정서를 넣은 상황에서 회사 측에서 손해배상 민사소송을 제기하겠다고 하여 걱정이 많으시겠습니다. 법적인 판단은 변호사와 상담하는 것이 가장 정확하지만, 일반적인 관점에서 몇 가지 조언을 드릴 수 있습니다.
1. 손해배상 소송의 성립 가능성
회사가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하려면 다음 요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 손해 발생: 실제로 회사에 손해가 발생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인쇄물 오타로 인해 재인쇄 비용이 발생했다면 이는 손해로 인정될 수 있습니다.
* 귀책사유: 손해 발생에 대한 귀하의 책임이 있어야 합니다. 즉, 귀하의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해 오타가 발생했다는 점이 입증되어야 합니다.
* 인과관계: 귀하의 행위와 회사의 손해 사이에 인과관계가 있어야 합니다. 즉, 귀하의 오타 때문에 회사가 손해를 봤다는 점이 입증되어야 합니다.
만약 귀하가 오타를 낸 것이 불가피한 상황이었거나, 회사가 오타를 사전에 검수할 기회가 있었음에도 이를 간과했다면 귀하의 책임을 묻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2. 회사의 소송 전략
회사가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을 수 있습니다.
* 압박: 퇴직금 지급 요구를 포기하도록 압박하려는 의도일 수 있습니다.
* 근로자성 부인: 귀하가 프리랜서 신분이라는 점을 강조하려는 의도일 수 있습니다. 손해배상 책임은 일반적으로 근로자보다는 프리랜서에게 더 쉽게 인정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 실제 손해배상: 실제로 손해배상을 받으려는 의도일 수도 있습니다.
3. 대응 방안
* 증거 수집: 오타 발생 경위, 회사의 검수 과정, 손해 규모 등에 대한 증거를 최대한 수집하십시오. 이메일, 메신저 대화 내용, 작업 지시서 등이 중요한 증거가 될 수 있습니다.
* 법률 전문가 상담: 변호사와 상담하여 구체적인 상황에 대한 법률 자문을 받으십시오. 변호사는 귀하의 주장을 뒷받침할 법리, 소송 대응 전략 등을 제시해 줄 수 있습니다.
* 노동부 협조: 노동부 감독관에게 회사 측의 소송 제기 사실을 알리고, 근로자성 입증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는 등 적극적으로 협조하십시오.
* 합의 가능성 검토: 회사가 합의를 제안할 경우, 변호사와 상의하여 합리적인 합의 조건을 협상하십시오.
4. 추가 조언
* 회사 측과의 대화 내용을 녹음하거나 기록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 감정적으로 대응하지 말고, 차분하고 논리적으로 대응하십시오.
* 주변 사람들에게 어려움을 털어놓고 도움을 요청하십시오.
Disclaimer: 이 답변은 일반적인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하며, 법률 자문으로 간주될 수 없습니다. 구체적인 법적 문제는 반드시 변호사와 상담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