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2025-08-30 10:02:43이거 협박죄가 성립이 되나요?
자전거를 직거래로 판매했습니다.
몇일 후 구매자한테 하자가 있으니 당신을 고소하겠다고 하더라구요.
고소라는 말이 무서워서 일단 죄송하다. 부분 환불이나 전액 환불을 해드리겠다고 했는데 나는 그런거 필요없고 당신 인생에 빨간줄 하나 그어버리는게 목표다,범죄자로 만들어서 군면제를 시켜버리겠다고 문자를 받았습니다.
이런거 협박죄로 고소 가능한가요?..
지금 너무 무섭고 손 떨리는데 고소하는게 맞을까요?
A
Dr.s Diagnosis안녕하세요. 온라인 상담 의사입니다. 자전거 직거래 후 구매자로부터 '고소', '빨간줄', '군면제' 등의 언급이 담긴 문자를 받으시고 협박죄 성립 여부와 고소 가능성에 대해 문의주셨습니다. 현재 느끼시는 불안감과 두려움에 대해 충분히 공감합니다.
협박죄 성립 가능성:
형법상 협박죄는 "사람을 협박하여 공포심을 느끼게 하는 행위"를 의미합니다. 여기서 '협박'은 단순히 불쾌감을 주는 것을 넘어, 객관적으로 보아 일반인으로 하여금 공포심을 일으킬 수 있는 정도의 해악을 고지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 해악의 내용:
* 고소: 정당한 권리 행사로 보일 수 있지만, "인생에 빨간줄을 긋겠다", "범죄자로 만들겠다"와 같이 부당한 목적을 가지고 고소를 언급하는 경우 협박으로 해석될 여지가 있습니다.
* 군면제: 이는 본인 또는 가족의 신상에 직접적인 불이익을 주는 내용이므로, 충분히 공포심을 유발할 수 있는 해악에 해당합니다.
* 공포심 유발: 구매자의 발언 내용과 강도, 그리고 질문자님께서 실제로 공포심을 느꼈는지 여부가 중요합니다. 현재 '무섭고 손 떨린다'고 하신 점을 미루어 보아 공포심을 느낀 것으로 판단됩니다.
고소 가능성:
위에서 언급한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했을 때, 구매자의 행위는 협박죄에 해당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고소를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고소 전 고려사항:
1. 증거 확보: 문자 메시지, 통화 녹음(상대방 동의 필요), 카카오톡 대화 내용 등을 증거로 확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법률 전문가 상담: 변호사와 상담하여 구체적인 법률 자문을 구하는 것이 좋습니다. 사건의 구체적인 내용과 증거를 바탕으로 협박죄 성립 여부와 고소 가능성을 더욱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습니다.
3. 경찰 신고: 직접 경찰서에 방문하여 상담을 받고, 필요하다면 고소장을 제출할 수 있습니다.
고소 외 다른 방법:
* 내용증명 발송: 변호사나 법무사를 통해 내용증명을 발송하여 상대방에게 경고하고, 합의를 시도해볼 수 있습니다.
* 민사 소송: 협박으로 인해 정신적 피해를 입었다면 손해배상 청구 소송을 제기할 수 있습니다.
정신 건강 관리:
현재 불안감을 느끼고 계시므로, 정신 건강 관리에도 신경 쓰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필요하다면 정신과 전문의나 상담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Disclaimer: 본 답변은 일반적인 법률 정보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인 법률 자문은 반드시 변호사와 상담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