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2025-05-02 08:50:25실업급여에 영향이 있을지 궁금합니다.
제가 1월31일자로 퇴사 후 4월30까지 쉬었습니다.
쉬는 와즁에 배달로 주에 한 5만원?정도 벌었습니다.
근데 이번에 5월에 계약직 일을 한 후 계약 만료로 퇴사 후 실업급여를 신청할 예정인데 배달했던게 영향이 있을까요??
A
Dr.s Diagnosis실업급여 수급 자격에 대한 문의 주셨네요. 몇 가지 중요한 사항을 확인하고 답변 드리겠습니다.
1. 실업급여 수급 조건:
* 고용보험 가입 기간: 퇴사일 이전 18개월 동안 고용보험 가입 기간이 180일 이상이어야 합니다. 이 조건은 충족하시는 것으로 보입니다.
* 자발적 퇴사 여부: 계약 만료로 인한 퇴사는 비자발적 퇴사에 해당하므로 실업급여 수급 자격이 됩니다.
* 재취업 노력: 적극적인 재취업 활동을 해야 합니다. 구직 활동 증명 자료를 제출해야 할 수 있습니다.
2. 배달 수입의 영향:
* 소득 신고 여부: 배달 수입을 세무서에 신고했는지 여부가 중요합니다. 신고했다면 실업급여 수급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소득 금액: 실업급여는 '구직' 활동을 지원하는 제도이므로, 소득이 많으면 구직 의사가 없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주 5만원 정도의 수입은 크게 문제되지 않을 수 있지만, 정확한 판단은 고용센터에서 이루어집니다.
* 고용보험 가입 여부: 배달 플랫폼에서 고용보험에 가입되어 있다면 실업급여 수급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3. 5월 계약직 근무의 영향:
* 고용보험 가입 여부: 5월 계약직 근무 시 고용보험에 가입되었다면, 해당 기간 동안의 보험 가입 내역이 실업급여 수급 자격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계약 기간: 계약 기간이 짧더라도 고용보험에 가입되었다면 실업급여 수급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4. 권장 조치:
* 고용센터 문의: 가장 정확한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거주지 관할 고용센터에 문의하는 것이 좋습니다. 배달 수입과 5월 계약직 근무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제공하고 실업급여 수급 가능성을 확인하세요.
* 소득 증빙 자료 준비: 배달 수입과 관련된 소득 증빙 자료(세금 신고 내역 등)를 준비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 재취업 활동 증명: 적극적인 재취업 활동을 하고 있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는 자료(구직 활동 확인서, 면접 확인서 등)를 준비하세요.
주의사항:
* 실업급여는 부정수급 시 불이익이 따릅니다. 사실에 근거하여 정확하게 신고해야 합니다.
* 고용센터마다 판단 기준이 다를 수 있으므로, 반드시 직접 문의하여 확인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