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2025-06-18 09:30:36

뇌경색환자 보통 치료비 얼마정도 나오고 얼마정도 나올까

안녕하세요. 뇌경색 환자분이시고 응급실을 통해서 입원하셨습니다. mri를 2번 촬영하였습니다. 촛 mri는 응급실에서 찍었고 만약 뇌경색이 아니면 비급여로 60만원 나온다고 했었습니다. 다리쪽에 스탠드삽입??이랑 팔쪽에 퇴원할때까지 뭐 삽입한다고 하셔서 말초신경 어쩌고인가? 이렇게 2개를 삽입시술을 하고 혈전용해제도 사용을 했습니다. 현재는 집중치료실에 계시는데 혹시 일반적으로 뇌경색환자분들 진료비가 얼마정도 나오셨는지 궁금합니다. 보험이 들어져있기는 하지만.. 챗gpt가 100% 정확하지는 않겠지만 삽입술 등등 생각보다 비싸다고 하여서 ..걱정되서 여쭤봅니다.

A
Dr.s Diagnosis
안녕하세요. 뇌경색 환자분의 치료비 때문에 걱정이 많으시겠네요. 뇌경색 치료는 여러 요인에 따라 비용이 크게 달라질 수 있어서 정확한 금액을 말씀드리기는 어렵습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항목과 대략적인 비용을 예시와 함께 설명해 드릴게요. 1. 응급실 진료 및 검사: * 응급실 진료비: 응급실은 일반 외래보다 진료비가 높습니다. 뇌경색 의심으로 방문하셨으니 응급처치, 검사 등에 따라 10만원 이상 나올 수 있습니다. * MRI 촬영: 응급 MRI는 뇌경색 진단을 위해 필수적인 검사입니다. 말씀하신 대로 뇌경색이 아닌 경우 비급여로 60만원이 나올 수 있지만, 뇌경색으로 진단되면 건강보험이 적용되어 20~40만원 정도 예상됩니다. MRI 2번 촬영했으니 이 금액의 2배를 고려해야 합니다. * 기타 검사: 혈액 검사, 심전도 검사 등 추가적인 검사가 시행될 수 있으며, 각각 5~10만원 정도 추가될 수 있습니다. 2. 시술 및 약물 치료: * 혈전용해제: 뇌경색 초기 혈전용해제(tPA) 투여는 매우 중요합니다. 보험 적용 시 1회 투여에 50~100만원 정도 예상됩니다. * 스텐트 삽입술 (다리): 다리 혈관에 스텐트 삽입술을 하셨다면, 이는 뇌경색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을 수 있습니다. 하지정맥 혈전증 예방이나 다른 혈관 문제 때문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스텐트 종류, 개수, 시술 난이도에 따라 비용이 크게 달라지지만, 1개당 200~500만원 정도 예상해야 합니다. * 말초신경 삽입 (팔): "말초신경 삽입"이라는 용어는 다소 모호합니다. 중심정맥관 삽입술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는 수액, 약물 투여를 위한 경로 확보를 위해 시행되며, 1회 시술에 10~20만원 정도 예상됩니다. * 집중치료실 (ICU) 입원: 집중치료실은 일반 병실보다 훨씬 비쌉니다. 하루 입원료가 30~100만원까지 나올 수 있습니다. 환자 상태에 따라 입원 기간이 달라지므로, 총 비용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3. 입원 및 기타 비용: * 병실료: 일반 병실은 보험 적용되지만, 상급 병실은 비급여입니다. 1인실은 하루 30만원 이상, 특실은 100만원 이상 나올 수 있습니다. * 재활 치료: 뇌경색 후유증으로 재활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물리 치료, 작업 치료 등 종류에 따라 비용이 다르며, 1회에 2~5만원 정도 예상됩니다. * 간병비: 간병인을 고용하면 하루 10만원 정도 추가됩니다. 총 예상 비용: 위에서 언급된 항목들을 종합해 보면, 뇌경색으로 응급실을 통해 입원하여 MRI 촬영, 혈전용해제 투여, 스텐트 삽입술, 집중치료실 입원 등을 한 경우, 총 치료비는 수백만원에서 수천만원까지 나올 수 있습니다. 보험 적용: 다행히 보험에 가입되어 있다고 하셨으니, 가입하신 보험 종류와 보장 내용에 따라 실제 부담하는 금액은 크게 줄어들 수 있습니다. 보험사에 문의하여 정확한 보장 내역을 확인하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추가 조언: * 병원 원무과 상담: 병원 원무과에 치료비 중간 정산 내역을 문의하고, 예상 총액을 문의해 보세요.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홈페이지에서 진료비 확인 서비스를 이용해 보세요. * 정부 지원 제도: 뇌경색 환자를 위한 정부 지원 제도가 있을 수 있습니다. 거주지 관할 보건소나 주민센터에 문의해 보세요. 환자분의 빠른 회복을 기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