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2025-06-01 03:16:37

5번 중족골 골절 4주차

18살이고 1m에서 발 외측으로 착지후 5번 중족골 폐쇄골절 4주차입니다

지난주 금요일부터 다음주쯤이면 다 붙어보일거 같네요~ 라고 하시곤 일반 신발신고 일상중입니다

중족골에는 통증이 없고 잠깐 뛰면 발뒤꿈치랑 아치만 아픕니다(따끔거리지않고 욱신?)

운동 복귀 몇주차부터 가능할까요? 배구하는데 점프뛰면 한 80cm?쯤에서부터 한발 착지(부러진발) 하는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스쿼트 100kg쯤으로 운동하는데 언제쯤 웨이트도 할 수 있을까요? 재활 효과적으로 하는법도 부탁드립니다!

A
Dr.s Diagnosis
안녕하세요, 5번 중족골 골절 4주차이시군요. 18세이시고, 골절 회복 속도가 빠를 것으로 예상되지만, 완벽한 회복을 위해서는 신중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현재 상태: * 중족골 통증 없음: 뼈가 어느 정도 붙었다는 긍정적인 신호입니다. * 발뒤꿈치 및 아치 통증: 일반 신발을 신고 일상생활을 하면서 발에 가해지는 하중이 증가하여 나타나는 일반적인 증상입니다. 아직 발이 완전히 회복되지 않은 상태에서 무리한 활동을 하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운동 복귀 시점: * 배구 (점프): 5번 중족골은 체중 부하 시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점프와 같은 동작은 뼈에 상당한 스트레스를 줍니다. X-ray 검사 결과 뼈가 완전히 유합되었는지 확인하고, 의사의 소견을 듣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일반적으로 8주에서 12주 정도 후에 재활 과정을 거쳐 복귀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개인의 회복 속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 예시: 8주차에 가볍게 걷기 시작, 10주차에 조깅, 12주차에 점프 연습 (낮은 높이에서 시작)과 같이 단계적으로 진행할 수 있습니다. * 웨이트 (스쿼트): 스쿼트는 하체 전체에 큰 부하를 주는 운동이므로, 배구 복귀보다 더 신중해야 합니다. 마찬가지로 X-ray 검사 후 의사와 상담하고, 재활 과정을 통해 근력과 안정성을 충분히 확보한 후에 시작해야 합니다. * 예시: 12주차 이후, 맨몸 스쿼트부터 시작하여 점차 무게를 늘려나가는 방식으로 진행합니다. 100kg은 상당한 무게이므로, 최소 3개월 이후부터 시도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효과적인 재활 방법: 1. 스트레칭: 발목과 발가락의 가동 범위를 회복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예시: 발목을 위아래, 좌우로 움직이는 스트레칭, 수건을 이용하여 발가락을 몸쪽으로 당기는 스트레칭 등을 꾸준히 합니다. 2. 근력 강화: 발목 주변 근육을 강화하여 안정성을 높입니다. * 예시: 까치발 들기, 발가락으로 수건이나 구슬 집기, 탄성 밴드를 이용한 운동 등을 합니다. 3. 균형 훈련: 불안정한 지면에서 균형을 잡는 연습을 통해 고유수용성 감각을 향상시킵니다. * 예시: 한 발로 서기, 짐볼 위에서 균형 잡기 등을 합니다. 4. 점진적 부하 증가: 통증이 없는 범위 내에서 점차적으로 운동 강도와 시간을 늘려나갑니다. 5. 냉찜질/온찜질: 통증이나 부기가 있을 경우 냉찜질을, 만성적인 통증에는 온찜질을 합니다. 6. 충분한 휴식: 회복을 위해 충분한 휴식을 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7. 보호 장비: 운동 시 발목 보호대 등을 착용하여 부상을 예방합니다. 주의사항: * 재활 운동 중 통증이 느껴지면 즉시 중단하고 휴식을 취해야 합니다. * 무리한 운동은 오히려 회복을 더디게 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전문가의 지도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 정기적인 X-ray 검사를 통해 뼈의 유합 상태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결론: 운동 복귀 시점은 개인의 회복 속도에 따라 다르므로, 반드시 의사와 상담 후 결정해야 합니다. 재활 과정을 꾸준히 수행하고, 무리한 운동은 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