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2025-06-28 09:43:28

배꼽 옆에 오른쪽에 뽀루지? 수포?? 진물이 뭘까요?

안녕하세요 엊그제 갑자기 배를 보니 뽀루지가 나있더라고요

몸에 여드름이 나는 사람이 아닐뿐더러

얼굴에 뽀루지가 생겨도 그냥 냅두면 자연스레 사라졌어서

평소처럼 냅뒀는데 다음 날 터져있더라고요

청바지를 입어서 그런지 모르겠는데 ㅠㅠ

그냥 이제 아물겠거니 했는데 어제 다시 보니

뾰루지 주변으로 조금 부어오르면서 진물이 좀 나더라고요 ㅜㅜ 외출을 해야해서 방수반창고테이프를 붙혀두고

외출하고 돌아오니 반창고에 노란? 진물처럼 좀 많이 묻어있어서떼어서 확인해보니 이 뾰루지? 수포? 들과 함께 저 뾰루지 면적이 더 커졌습니다ㅠㅠ 원래는 저 표시 되어있는 작은부분에 크기였어요.. 2일만에 이렇게 됐습니다

간지러운건 덜 한데 좀 화끈거리며 아파요 ㅠㅠ

저 주변에 스포같은 것들이 다 진물? 고름 같고요 ㅠㅠ

대체 이게 뭘까요? ㅠㅠ 제발 알려주세요 ㅠㅠ

A
Dr.s Diagnosis
안녕하세요! 사진과 함께 자세한 증상 설명 감사합니다. 뽀루지, 수포, 진물, 그리고 면적 확대로 미루어 보아 몇 가지 가능성을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1. 세균 감염: * 설명: 뽀루지가 터진 후 세균이 침투하여 감염을 일으켰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특히 청바지 착용으로 인해 습하고 통풍이 잘 안 되는 환경이 조성되면 세균 번식이 쉬워집니다. * 증상: 붉은 반점, 부어오름, 진물, 고름, 통증, 열감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사진상으로 뾰루지 주변에 붉은 기운이 보이는 것이 감염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 예시: 모낭염, 종기 등이 세균 감염에 의한 피부 질환입니다. 2. 접촉성 피부염: * 설명: 특정 물질과의 접촉으로 인해 피부에 염증이 생겼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청바지 염료, 세제, 벨트 버클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 증상: 가려움, 붉은 반점, 부어오름, 진물, 수포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예시: 금속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이 금속 액세서리를 착용했을 때 피부염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3. 단순 포진 (Herpes Simplex): * 설명: 단순 포진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수포가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 증상: 작은 물집들이 옹기종기 모여 있고, 가렵거나 따가운 느낌이 들 수 있습니다. 물집이 터지면서 진물이 나고 딱지가 생깁니다. * 예시: 입술에 물집이 생기는 구순 포진이 대표적인 단순 포진입니다. 응급처치 및 관리: 1. 청결 유지: * 미지근한 물과 순한 비누로 해당 부위를 부드럽게 씻어주세요. * 씻은 후에는 깨끗한 수건으로 물기를 완전히 제거하고, 건조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소독: * 약국에서 포비돈 요오드액 (베타딘) 또는 클로르헥시딘 소독액을 구매하여 하루 2-3회 소독해주세요. * 소독 후에는 깨끗한 거즈나 밴드를 붙여 외부 자극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이 좋습니다. 3. 항생 연고: * 세균 감염이 의심될 경우, 약국에서 처방전 없이 구매할 수 있는 항생 연고 (예: 무피로신, 에스로반)를 사용해 보세요. * 연고는 소독 후 하루 2-3회 얇게 펴 발라주세요. 4. 습윤 드레싱: * 진물이 계속 나는 경우, 습윤 드레싱 (예: 메디폼, 듀오덤)을 사용하면 상처 치유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습윤 드레싱은 진물을 흡수하고 촉촉한 환경을 유지하여 새살이 돋아나는 것을 촉진합니다. 5. 생활 습관: * 청바지 대신 통풍이 잘 되는 면 소재 옷을 입으세요. * 꽉 끼는 옷이나 벨트는 피하고, 피부에 자극을 줄 수 있는 액세서리 착용도 자제하는 것이 좋습니다. * 충분한 수면과 균형 잡힌 식단으로 면역력을 높이는 것도 중요합니다. 병원 방문: * 증상이 악화될 경우: 위에서 언급한 자가 치료에도 불구하고 증상이 호전되지 않거나, 고열, 오한, 심한 통증 등의 전신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병원을 방문하여 전문적인 진료를 받으세요. * 정확한 진단: 피부과 전문의는 병변의 모양, 분포, 동반 증상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정확한 진단을 내릴 수 있습니다. 필요한 경우, 세균 배양 검사, 알레르기 검사 등을 통해 원인을 파악할 수도 있습니다. * 적절한 치료: 의사는 진단 결과에 따라 항생제, 항바이러스제, 스테로이드 연고 등 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