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2025-10-03 06:33:17병원이 형집행정지자 입원을 거부할 수 있나요?
공무집행 방해로 수감중 유방암으로 형집행정지 승인이 나서 입원할 병원을 찾고 있는데...
병원에 고지해야 하는 줄 알고 이야기를 했더니 안 받는다네요.
이게 맞나요? 혼자 돌아 눕기도 어려운 상태라 위험 요소도 없는데요.
A
Dr.s Diagnosis형집행정지 상태에서 입원을 거부하는 병원이 있다는 소식에 안타까움을 금할 수 없습니다. 원칙적으로는 환자의 상태가 위급하고 해당 병원에서 치료가 가능하다면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에 따라 응급환자를 거부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형집행정지라는 특수한 상황 때문에 병원에서 입원을 주저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몇 가지 가능한 이유와 해결 방안을 자세히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병원 측의 우려 사항 (예시)
* 보안 문제: 형집행정지 환자의 경우, 도주 우려 때문에 일반 환자보다 더 많은 보안 인력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병원 입장에서는 추가적인 인력 및 비용 부담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평판 문제: 형집행정지 환자가 입원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 다른 환자들이 불안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병원 이미지를 고려하여 입원을 꺼릴 수 있습니다.
* 법적 책임: 형집행정지 기간 동안 환자에게 문제가 발생할 경우, 병원이 법적 책임을 져야 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 다른 환자 진료에 집중: 중증 환자 치료에 집중하기 위해, 비교적 안정적인 상태의 환자는 입원을 거부할 수 있습니다.
환자 측의 해결 방안 (예시)
1. 다른 병원 알아보기: 여러 병원에 문의하여 형집행정지 환자 입원 가능성을 타진해 보세요. 특히 대학병원이나 암 전문 병원 등 규모가 큰 병원에서는 다양한 환자를 수용할 수 있는 시스템이 갖춰져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2. 변호사 상담: 법률 전문가와 상담하여 형집행정지 환자의 입원 거부가 정당한 사유인지, 법적으로 문제 소지가 없는지 확인해 보세요. 필요한 경우 법적 조치를 통해 입원을 요구할 수 있습니다.
3. 보호자 동행: 보호자가 상주하면서 환자의 안전을 책임지고, 병원 측과 적극적으로 소통하면 입원 가능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4. 진단서 및 소견서: 현재 환자 상태를 정확하게 보여주는 진단서 및 소견서를 발급받아 병원에 제출하세요. 환자의 위중함을 강조하고, 입원이 꼭 필요한 상황임을 설명해야 합니다.
5. 형집행정지 결정문: 형집행정지 결정문을 병원에 제출하여 환자의 법적 지위를 명확히 밝히세요.
추가적으로 고려할 사항
* 국가인권위원회에 진정하는 것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의료기관의 부당한 진료 거부에 대해 문의할 수 있습니다.
중요: 위 정보는 일반적인 의학 지식을 바탕으로 제공된 것이며, 실제 상황에 대한 정확한 판단은 반드시 전문 의료진과 상담하여 받아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