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2025-05-16 09:05:32와파린 복용 부작용 문의(전문의 답변희망)
70세 남성, 심장 대동맥판막증으로 수술후 처방해주신 와파린을 복용중인데,, 사물이 두개가 보이는 증상을 느끼고 있습니다약을 복용시 일시적인 현상인지,,약을 다먹으면 증상이 없어지는건지3개월치 약을 타왔는데,,3개월동안 약복용시 그런증상들이 지속적으로 나타나는건지와파린 복용을 시작한 초반에만 그런증상이 있는건지 궁금합니다.3개월치 약을 복용하고 다른약을 복용하면 그런증상이 없어지는건지,,3개월치 약을 다 먹고 얼마가 지나면 그런증상들이 없어지는지 궁금합니다.사물이 2개가 보이는 증상으로안과, 신경계쪽으로 진료받고 mri를 찍어볼까 했는데와파린 때문일거라는 얘기를 들어서 여쭤봅니다
심장흉부외과, 안과, 신경계 전문의 답변 희망 합니다.몇자 적어주시면 큰 도움이 됩니다감사합니다
A
Dr.s Diagnosis## 와파린 복용 후 복시 증상에 대한 문의에 대한 답변
70세 남성 환자분의 와파린 복용 후 복시(사물이 두 개로 보이는 증상) 관련 문의에 대해 답변드립니다. 와파린은 심장 질환 수술 후 혈전 생성을 막기 위해 흔히 처방되는 약물이지만, 부작용 발생 가능성이 있습니다. 복시 증상과 와파린의 연관성에 대한 질문에 대해 다음과 같이 답변드리겠습니다.
1. 와파린과 복시 증상:
* 가능성: 와파린은 혈액 응고를 억제하는 약물이므로, 드물게 뇌출혈과 같은 심각한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뇌출혈은 뇌신경 손상으로 이어져 복시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또한, 와파린 복용으로 인해 발생한 미세한 출혈이 눈 주변 근육이나 신경에 영향을 주어 복시를 유발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 일시적인 현상 여부: 와파린 복용 초기에는 몸이 약물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일시적으로 복시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복시가 지속적으로 나타난다면 와파린 부작용으로 인한 문제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 약 복용 중단 후 증상 소멸 여부: 와파린 복용을 중단하면 혈액 응고 기능이 회복되면서 출혈 위험은 감소합니다. 복시의 원인이 와파린으로 인한 출혈이라면, 약 복용 중단 후 증상이 호전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뇌신경 손상이 이미 발생했다면 회복에 시간이 걸리거나 영구적인 손상으로 남을 수도 있습니다.
2. 3개월치 약 복용 관련:
* 지속적인 증상: 3개월 동안 와파린을 복용하면서 복시가 계속 나타난다면, 약물 부작용 가능성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 다른 약 복용 후 증상 소멸 여부: 와파린 복용을 중단하고 다른 항응고제로 변경한다고 해서 복시가 즉시 사라지는 것은 아닙니다. 복시의 원인과 신경 손상 정도에 따라 회복 기간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3. 추가 검사 및 진료:
* 안과 및 신경과 진료: 복시 증상이 나타난다면, 안과 및 신경과 전문의의 진료를 받아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MRI 검사: 뇌 MRI 검사를 통해 뇌출혈, 뇌경색, 뇌종양 등 복시를 유발할 수 있는 다른 질환들을 감별해야 합니다.
* 심장흉부외과 진료: 와파린 처방을 담당한 심장흉부외과 전문의와 상담하여 복시 증상에 대한 평가와 함께 약물 변경 여부를 논의해야 합니다.
4. 일반적인 조언:
* 자가 판단 금지: 환자분께서 임의로 와파린 복용을 중단하거나 용량을 변경하는 것은 매우 위험합니다. 반드시 전문의와 상담 후 결정해야 합니다.
* 정기적인 INR 검사: 와파린 복용 시에는 정기적으로 INR(International Normalized Ratio) 검사를 받아 혈액 응고 수치를 확인해야 합니다. INR 수치에 따라 와파린 용량을 조절해야 합니다.
5. 추가적으로 고려할 사항:
* 복시의 종류: 복시에는 여러 종류가 있으며, 어떤 종류의 복시인지에 따라 원인이 다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한쪽 눈을 가렸을 때 복시가 사라진다면, 양안시 이상으로 인한 복시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 복시 외 동반 증상: 복시 외에 다른 증상(두통, 어지럼증, 마비 등)이 동반된다면, 뇌 질환의 가능성을 의심해야 합니다.
Disclaimer: 이 답변은 일반적인 의학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며, 환자분의 구체적인 상태를 고려한 진단이나 치료를 대체할 수 없습니다. 반드시 전문의와 상담하여 정확한 진단과 치료 계획을 세우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