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2025-07-14 07:16:17아기 성대
6개월 여아 입니다 미숙아로 태어나 아기 울음소리가 잘 안나와서 대학병원 이비인후과에서 진료를 받았는데 왼쪽 성대에서 소리가 안 난다고 합니다 제가 엄마는 아니고 이모인데 조카가 걱정되어서 전문가의 조언을 듣고 싶습니다 왼쪽 성대가 커가면서 나중에 소리가 날 수 있을까요? 만약 소리가 안 나면 어떤 수술을 언제 해줘야 알고 싶습니다 다른 병원도 가봐야 할까요?
A
Dr.s Diagnosis안녕하세요. 6개월 여아의 성대 문제로 걱정이 많으시겠습니다. 미숙아로 태어난 아기의 경우, 성대 발달이 늦어지거나 성대 마비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모로서 조카를 걱정하는 마음이 느껴집니다.
현재 상황에 대한 이해:
* 성대 마비 가능성: 대학병원 이비인후과에서 왼쪽 성대에서 소리가 나지 않는다고 진단한 것은 왼쪽 성대의 움직임에 문제가 있을 가능성을 의미합니다. 이는 성대 마비일 수 있으며, 원인은 다양합니다.
* 성대 마비 원인: 미숙아의 경우, 출산 과정에서의 신경 손상, 뇌 발달 문제, 또는 감염 등이 성대 마비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앞으로의 가능성과 대처:
1. 자연 회복 가능성: 아기의 경우, 성장하면서 신경 발달이 이루어지고 성대 기능이 개선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꾸준한 관찰과 함께 언어 치료를 병행하면 자연적으로 회복될 수도 있습니다.
* 예시: 아기가 옹알이를 하거나 소리를 내려고 할 때, 엄마나 이모가 적극적으로 반응해주고 따라 하면서 소리 내는 것을 유도합니다.
2. 추가 검사: 대학병원에서 어떤 검사를 받았는지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 다른 병원에서 추가적인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 예시: 성대 움직임을 정밀하게 평가하기 위해 후두내시경 검사를 다시 받거나, 뇌 MRI 검사를 통해 뇌신경의 문제를 확인해볼 수 있습니다.
3. 수술적 치료: 만약 성대 마비가 지속되어 발달에 지장을 초래할 경우, 수술적 치료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 성대 주입술: 마비된 성대에 물질을 주입하여 성대의 두께를 늘려주는 방법입니다.
* 후두골격 수술: 성대의 위치를 조정하여 소리를 내는 데 도움을 주는 방법입니다.
* 신경 이식 수술: 손상된 신경을 대신할 신경을 이식하여 성대 기능을 회복시키는 방법입니다.
4. 수술 시기: 수술 시기는 아기의 상태와 발달 정도에 따라 결정됩니다. 일반적으로 언어 발달이 늦어지거나, 음식물을 삼키는 데 어려움을 겪는 경우, 수술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추가 조언:
* 다른 병원 방문: 대학병원 외에 소아 이비인후과 전문의가 있는 병원을 방문하여 추가적인 진료를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여러 전문가의 의견을 종합하여 최적의 치료 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 정기적인 경과 관찰: 아기의 울음소리, 언어 발달, 음식 섭취 등을 꾸준히 관찰하고, 변화가 있을 때마다 병원에 문의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 언어 치료: 필요에 따라 언어 치료를 병행하여 아기의 언어 발달을 돕는 것이 좋습니다.
Disclaimer: 이 정보는 일반적인 의학적 조언이며, 실제 진료를 대체할 수 없습니다. 반드시 전문 의료진과 상담하여 정확한 진단과 치료 계획을 세우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