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2025-09-12 09:53:26범죄경력조회 가능한 기관
경찰청 폴조회 시스템 외에도 가능한 기관이 있나요?
검찰청이나 법원에서도 경찰청 거치지 않고 알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법조 공직에 있는 분이 제 뒷조사를 하겠다고 협박을 하셔서요.
근데 정보청구 통해서 조회한 경찰청 제 범죄경력조회 기록에는 조회기록이 없습니다.
근데 협박하신분이 무언가를 아는듯이, 조회해본것처럼 행동합니다.
다른 접근 방법이 있나요?
A
Dr.s Diagnosis법조 공직에 있는 분에게 뒷조사 협박을 받아 걱정이 크시겠습니다. 정보청구로 확인한 경찰청 범죄경력조회 기록에 조회 기록이 없는데도 상대방이 무언가를 아는 듯한 태도를 보이는 상황이시군요. 가능한 모든 경우의 수를 고려하여 차분히 대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 범죄경력조회 가능한 기관:
* 경찰청 폴조회 시스템: 원칙적으로 범죄경력조회는 경찰청의 폴조회 시스템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하지만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라 엄격한 요건 하에서만 조회가 가능하며, 조회 시에는 반드시 기록이 남습니다.
* 검찰청, 법원: 검찰청이나 법원도 수사나 재판 과정에서 범죄경력조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경우에도 법률에 근거한 정당한 절차를 따라야 하며, 개인적인 뒷조사를 위해 임의로 범죄경력을 조회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2. 다른 접근 방법 가능성:
* 과거 기록 또는 평판: 범죄경력이 공식적으로 조회되지 않더라도, 과거에 수사를 받았거나 재판을 받은 사실이 있다면 관련 정보가 언론 기사나 소문 등으로 남아있을 수 있습니다. 또한, 주변 사람들의 증언이나 평판을 통해 과거의 행적이 드러날 수도 있습니다.
* 불법적인 정보 획득: 드물지만, 해킹이나 정보 유출 등의 불법적인 방법으로 개인 정보가 유출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3. 협박에 대한 대응:
* 증거 확보: 협박 내용이 담긴 문자 메시지, 녹음 파일, 이메일 등을 확보해두세요. 이러한 증거는 수사기관에 신고하거나 법적 대응을 할 때 중요한 자료가 됩니다.
* 변호사 상담: 변호사와 상담하여 법적 대응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좋습니다. 변호사는 협박죄 성립 여부를 판단하고, 필요한 법적 조치를 안내해 줄 수 있습니다.
* 수사기관 신고: 협박의 정도가 심각하다고 판단되면 경찰에 신고하여 수사를 의뢰할 수 있습니다.
* 주변에 알리기: 믿을 수 있는 가족, 친구, 동료 등에게 상황을 알리고 도움을 요청하세요. 혼자서 감당하기 어려운 상황일수록 주변의 지지와 도움이 필요합니다.
4. 추가적으로 고려할 사항:
* 개인정보보호 침해 신고: 만약 개인정보 유출이나 불법적인 정보 수집이 의심된다면 개인정보보호위원회에 신고할 수 있습니다.
* 정신적인 스트레스 관리: 협박으로 인해 불안, 초조, 우울 등의 정신적인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면 정신과 전문의나 상담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주의: 위 내용은 일반적인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하며, 법률 자문으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 구체적인 상황에 대한 판단과 법적 조언은 반드시 변호사와 상담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