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2025-04-30 13:28:47

일주일째 지속되는 왼쪽 관자놀이 통증

지난주 수요일부터 시작 된 통증입니다.

왼쪽 관자놀이 쪽으로 통증이 계속 있습니다

욱신거린다는 말이 가장 적합할 것 같구요.

전날 술을 좀 마셔서 처음엔 숙취로 인한 두통인 줄 알았습니다.

근데 입을 앙 다무니까 왼쪽 윗어금니에 통증이 심하더라구요.

그래서 이번에는 치통에 의한 두통인 줄 알았습니다.

그래서 저번주 금요일에 치과에 다녀왔고, 이빨에는 문제가 없고, 다른 원인인 것 같다고 하셨고, 부비동염에 의한 두통일 수도 있다고 하시긴 했어요. 그래도 두통이니까 혹시 모르니

치과에서 나와서 바로 신경과로 갔고,

이것저것 검사 해보자는데 다 합치니까 140만원이더라구요.

검사내용은 이렇습니다

-혈액검사

-자율신경기능검사AFT

-뇌혈류초음파TCD

-경동맥초음파EVS

-뇌파검사(수면/각성)EEG

-유발전위검사EP(전정신경/청각신경)

-신경전도검사NCS(안면)

-혈관탄력검사ABI

-Brain+Diffusion

-MRA(Brain+Carotid)

아래 두가지가 거의 90만원, 그 외 검사가 50만원정도고요.

그래서 순간 '아니, 내가 3일째 두통이 있다는 말 한마디로 140만원어치 검사를 받으라고?' 라는 생각이 들면서 짜증나서 걍 안받았거든요..

어금니 통증은 토요일부터 거의 사라졌고, 두통만 계속 남아있습니다.

편두통이겠지 라고 생각하고 기다려보자 했는데

일주일째 사라지지를 않고 있습니다.

잔잔한 통증은 계속 있고, 아이들이 떼를 쓸때나 극도의 스트레스상황일때 통증은 더 강해지며, 자기전 누우면 통증이 더 강해집니다.

여기서 정말 궁금한건,

저 검사가 정말 다 필요한건가요..?

다 필요한거라면 해보구요... 아니면 엠알아이 한개만 찍어볼까 하는데...

의사선생님들 의견이 궁금합니다ㅠㅠ.. 도와주세요ㅠㅠ

A
Dr.s Diagnosis
안녕하세요. 일주일째 지속되는 왼쪽 관자놀이 통증으로 걱정이 많으시겠네요. 우선 제시된 검사들이 모두 필수적인 검사인지 판단하기는 어렵습니다. 하지만 신경과에서 여러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포괄적인 검사를 계획한 것으로 보입니다. 현재 증상과 상황을 고려했을 때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추가적인 질문을 드리고 싶습니다. 1. 통증의 양상: 통증이 욱신거리는 것 외에 다른 특징이 있나요? 예를 들어, 망치로 두드리는 듯한 통증, 조이는 듯한 통증, 찌르는 듯한 통증 등 구체적인 표현을 알려주시면 좋습니다. 2. 동반 증상: 두통 외에 다른 증상이 있나요? 예를 들어, 시력 변화, 메스꺼움, 구토, 어지럼증, 팔다리 저림, 감각 이상 등이 있는지 확인해주세요. 3. 과거 병력: 과거에 편두통이나 다른 질환을 앓은 적이 있나요? 복용 중인 약물이 있다면 함께 알려주세요. 4. 가족력: 가족 중에 편두통이나 다른 신경계 질환을 앓고 있는 분이 있나요? 5. 생활 습관: 스트레스, 수면 부족, 카페인 섭취, 흡연 등이 두통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평소 생활 습관에 대해 알려주세요. 현재 정보와 추가 질문에 대한 답변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몇 가지 가능성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1. 긴장성 두통: 가장 흔한 형태의 두통으로, 스트레스나 과로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2. 편두통: 욱신거리는 통증과 함께 메스꺼움, 구토, 빛이나 소리에 예민해지는 증상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3. 근막통증증후군: 목이나 어깨 근육의 긴장으로 인해 두통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4. 삼차신경통: 얼굴 특정 부위에 칼로 찌르는 듯한 심한 통증이 짧게 반복되는 질환입니다. 5. 뇌종양: 드물지만 뇌종양으로 인해 두통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제안 드리는 단계별 접근 방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진통제 복용: 우선 일반 진통제(예: 타이레놀, 이부프로펜)를 복용하여 통증 완화를 시도해 볼 수 있습니다. 2. 생활 습관 개선: 충분한 수면을 취하고, 스트레스를 줄이며, 규칙적인 식사를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3. 두통 일기 작성: 두통의 발생 시간, 강도, 동반 증상, 유발 요인 등을 기록하는 두통 일기를 작성하면 진단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4. 신경과 재방문: 증상이 지속되거나 악화된다면 신경과 전문의를 다시 방문하여 상담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5. MRI 검사 고려: 신경과 전문의와 상담 후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MRI 검사를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MRI 검사는 뇌의 구조적인 이상을 확인하는 데 유용합니다. 주의: 위 내용은 일반적인 의학 정보이며, 실제 진단 및 치료는 반드시 의사와 상담 후 결정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