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2025-06-12 09:37:55

치과대학교병원블랙리스트 환자를 합세하여치료거부한다

블랙리스트에 올라

치과대학병원들

단합해서 치료거부합니다

아무런 치료도 못받고

방치하고 있습니다

어떡게 대응해야 할까요?

대응방법좀알려주세요ㆍ

A
Dr.s Diagnosis
환자분의 어려운 상황에 대해 매우 안타깝게 생각합니다. 치과대학병원에서 블랙리스트에 올라 치료를 거부당하고 계신다니, 심적으로 얼마나 힘드실지 짐작하기 어렵습니다. 제가 드릴 수 있는 몇 가지 조언과 대응 방법을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1. 정확한 상황 파악 및 증거 확보: * 블랙리스트 등재 사유 확인: 병원 측에 블랙리스트에 등재된 구체적인 사유를 공식적으로 문의하고, 답변을 서면으로 받아두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만약 구두로만 통보받았다면, 통화 내용 녹음이나 관련자 진술 확보 등 증거를 확보해야 합니다. * 치료 거부 기록 확보: 진료 거부 사실을 입증할 수 있는 자료(진료 거부 확인서, 진료 예약 취소 문자 메시지, 병원과의 통화 기록 등)를 최대한 확보하십시오. * 진단서 및 소견서: 현재 치아 상태에 대한 객관적인 진단서와 치료 필요성에 대한 의사 소견서를 다른 병원에서 발급받아 놓는 것이 좋습니다. 2. 가능한 대응 방법: * 다른 치과 병원/의원 방문: 치과대학병원 외에 다른 치과 병원이나 의원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아보십시오. 개인 치과의원에서는 블랙리스트와 상관없이 진료를 받을 수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 국민신문고 민원 제기: 국민신문고를 통해 보건복지부에 민원을 제기하여 도움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 국민신문고는 정부에 대한 민원을 제기하고 처리 결과를 받을 수 있는 공식 채널입니다. * 대한치과의사협회 문의: 대한치과의사협회에 문의하여 도움을 요청하거나, 관련 법률 자문을 받아볼 수 있습니다. 협회는 치과의사의 권익 보호뿐만 아니라 환자의 권익 보호에도 힘쓰고 있습니다. * 법률 전문가 상담: 변호사 등 법률 전문가와 상담하여 법적 대응 가능성을 검토해 보십시오. 부당한 진료 거부는 의료법 위반에 해당될 수 있으며, 손해배상 청구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 소비자보호원: 소비자보호원에 피해구제 신청을 해보는 것도 방법입니다. 3. 추가적으로 고려할 사항: * 진료 거부 사유의 정당성: 병원 측의 진료 거부 사유가 정당한지 면밀히 검토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과거 진료비 미납, 상습적인 폭언/폭력 등 정당한 사유가 있다면 법적 대응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 감정적 대응 자제: 병원 측에 항의할 때 감정적인 언행은 자제하고, 차분하고 논리적으로 자신의 입장을 설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증거 보존: 모든 관련 자료(서류, 사진, 녹음 파일 등)를 안전하게 보관하십시오. 중요: * 본 정보는 일반적인 내용이며, 실제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 반드시 전문가와 상담하여 정확한 진단과 법률 자문을 받으시길 바랍니다. 환자분의 어려움이 하루빨리 해결되기를 진심으로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