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2025-09-03 09:59:41사진과 같은 위치에 주차하면 불법주정차에 해당되나요?
편의점 들린다고 주차해놨고 편의점 화장실까지 쓴다고 한 15~20분 주차한거 같은데그 사이에 음주운전차량이 와서 박았는데 불법주정차라고 과실 주장하는데요주차선 안에 주차를 안하고 대충 대서 편의점 쪽에 바짝 붙여놓지 않고 사진에 빨간 동그라미로 표시한거처럼 길처럼 보이는 경계?선에 걸쳐있었습니다.
불법주정차가 맞나요?

A
Dr.s Diagnosis## 불법 주정차 여부 및 과실 판단에 대한 의학적 조언
1. 불법 주정차 여부 판단:
* 주차 금지 구역 확인: 사진상으로는 정확한 구역 확인이 어렵습니다. 해당 위치가 주차 금지 구역인지 확인해야 합니다. 주차 금지 표지판, 노면 표시 (황색 실선/점선, 적색 연석 등) 유무를 확인하세요.
* 보도 침범 여부: 보도는 보행자를 위한 공간이므로 차량이 보도를 침범하여 주차하는 것은 불법입니다. 사진상 경계선에 걸쳐 있는 것으로 보이는데, 이 선이 보도 경계인지 확인해야 합니다.
* 교통 방해 여부: 주차로 인해 다른 차량이나 보행자의 통행을 현저히 방해했는지도 판단해야 합니다. 15~20분 정도의 짧은 시간이라도 다른 차량의 통행을 막았다면 불법 주정차에 해당할 수 있습니다.
만약 불법 주정차에 해당된다면 도로교통법 제32조 위반으로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2. 과실 비율 판단:
* 음주운전: 음주운전은 중대한 위법 행위이며, 사고의 주요 원인이 됩니다. 음주운전 차량의 과실이 매우 클 가능성이 높습니다.
* 불법 주정차: 불법 주정차는 사고 발생의 원인을 제공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음주운전과 비교했을 때 과실 비율은 상대적으로 낮을 수 있습니다.
예시:
* 만약 해당 위치가 명백한 주차 금지 구역이고, 주차로 인해 다른 차량의 통행을 방해했다면 불법 주정차에 해당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음주운전 차량의 과실이 80~90%, 불법 주정차 차량의 과실이 10~20% 정도로 판단될 수 있습니다.
* 만약 해당 위치가 주차 금지 구역은 아니지만, 보도를 일부 침범했고, 이로 인해 사고가 발생했다면 불법 주정차에 해당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음주운전 차량의 과실이 70~80%, 불법 주정차 차량의 과실이 20~30% 정도로 판단될 수 있습니다.
3. 추가 조언:
* 사고 현장 사진/영상 확보: 사고 당시 현장 사진, 블랙박스 영상 등을 확보하여 사고 상황을 입증할 수 있도록 하세요.
* 경찰 신고: 경찰에 신고하여 사고 경위와 불법 주정차 여부에 대한 공식적인 조사를 요청하세요.
* 보험사 상담: 가입한 보험사에 연락하여 사고 처리 절차와 과실 비율에 대한 상담을 받으세요.
* 법률 전문가 상담: 과실 비율에 대한 이견이 있거나, 법적인 자문이 필요한 경우 변호사 등 법률 전문가와 상담하는 것이 좋습니다.
주의:
* 위 내용은 일반적인 의학적 조언이므로, 실제 법적 판단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 정확한 과실 비율은 사고 상황, 관련 법규, 판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결정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