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2025-07-09 03:49:13

7살 남아 자폐일까요? ADHD일까요?

안녕하세요. 병원 예약을 하려니 7~10월에 꽉 차 있는 병원들이 많아검사를 받아보는것도 빠르면 8월 말부터 가능할 것 같아서.. ADHD 증상에 해당이 되는지. 자폐 증상에 해당이 되는지를 여쭤봅니다.아래 내용 확인 후 자폐인지 adhd인지 의심가는 질환을 알려주실 수 있을까요?

  1. 현재 아이 7살 / 남아

  2. 2. 유치원 생활 - 수업시간 혹은 점심시간- 종이를 돌돌 말아 소리를 지른다- 가만히 앉아있지를 못하고 빙글빙글 제자리에서 돈다.- 옆자리 혹은 앞자리 친구의 발을 건들이며 장난을 친다.- 혼자 노래를 흥얼거리기- 발표시간에 발표를 못한다고 화내면서 소리지르기- 발표시간에 발표를 하라고 하면 발표 주제와 관련없는 다른 이야기 하기- 가만히 앉아있지를 못하고 계속 꼼지락 거림

  3. 3. 유치원생활 - 노는 시간 및 친구 대하는 태도- 장난이라며 얼굴에 침 뱉기- 장난감을 갑자기 휙휙 가져가기- 친구가 안놀아준다는 이유로 꼬집거나 밀기- 친구가 안논다고 하면 소리 지르면서 화내기- 친구한테 갑자기 얼굴을 들이대기- 친구 혹은 애기 얼굴을 갑자기 쓰다듬기- 바닥에 앉아있는 친구에게 갑자기 다가가 발로 감싸기

  4. 4. 도둑질 및 거짓말- 매일 혼자 나가서 무인편의점에서 훔쳐먹기- 같은 유치원 친구 엄마가 애기를 보고 그러면 안된다고 하니 내려놓고 도망갔다가 그 분 가는 거 보고 다시 들어가서 훔쳐먹기(무인편의점 가지말라고 혼내고 나서)- 집에 있는 저금통 지폐를 털어서 편의점가서 먹고싶은거 먹고, 사고싶은 인형 사들고 집에 들어오기- 어디서 났냐고 물어보면 땅에서 주웠다고 얘기하기- 거짓말을 밥먹듯이 함- 사실대로 말하면 혼나요? 라는 질문을 함

  5. 5. 의심증상 - 혼날 때나 대화할 때 나: 너 ㅇㅇ 이거 하면 안된다고 했잖아애기: 네나 : 근데 왜 그랬어?애기 : 네나 : ? 생각하고 말해야지애기 : 네나 : 왜그랬냐고애기 : 네나 : 너가 무슨 생각으로 이걸 했어?애기 : 네나 : 이거 할 때 어떤 마음이였어?애기 : 네

  6. 이게 계속 반복되다가 어떻게 말을 해야하는지 꾸준히 가이드 한 이후

  7. 나 : 너 ㅇㅇ 이거 하면 안된다고 했잖아애기 : 네나 : 근데 왜 그랬어?애기 : 네나 : ? 생각하고 말해야지애기 : 네나 : 왜그랬냐고애기 : 하고싶어서요

  1. 의심증상대화가 안됨밥먹을 때나 가족끼리 이야기를 하고 있을 때 주제와 관련 없는 이야기로 갑자기 이야기를 함(공룡이 갑자기 나타나서 밥을 먹었어요! 와 같은 상상속의 이야기를 함) -----------

보통은 뭐든 다 하고싶어서 했다고 이야기 함그리고 친구를 괴롭히거나 때렸을 때 왜그랬냐고 하면 "옛날에 쟤는 ~"이라며 한참 전에 이야기 했던걸 다시 회상하고 화가 나서 그랬다고 함

A
Dr.s Diagnosis
안녕하세요. 7살 남아의 행동 때문에 걱정이 많으시겠네요. 말씀해주신 내용을 바탕으로 아이의 증상에 대해 몇 가지 가능성을 말씀드리겠습니다. 다만, 정확한 진단은 병원에서 전문가의 진찰을 받아야 한다는 점을 꼭 기억해주세요. ADHD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의심 증상: * 과잉행동: 가만히 앉아 있지 못하고 꼼지락거림, 제자리에서 빙글빙글 도는 행동은 ADHD의 전형적인 증상입니다. * 충동성: 친구에게 침을 뱉거나 장난감을 갑자기 가져가는 행동, 친구를 꼬집거나 미는 행동은 충동적인 성향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 주의력 부족: 발표 시간에 엉뚱한 이야기를 하거나, 수업 시간에 집중하지 못하는 모습은 주의력 부족과 관련될 수 있습니다. 자폐 스펙트럼 장애 (ASD) 의심 증상: * 사회적 상호작용의 어려움: 친구에게 갑자기 얼굴을 들이대거나 쓰다듬는 행동, 바닥에 앉아있는 친구에게 발로 감싸는 행동은 사회적 상황에 대한 이해 부족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 반복적인 행동: 종이를 돌돌 말아 소리를 지르는 행동, 혼자 노래를 흥얼거리는 행동은 상동행동의 일종일 수 있습니다. * 언어적 어려움: 질문에 대해 "네"라고만 대답하는 모습은 언어 이해력 부족이나 의사소통의 어려움을 시사할 수 있습니다. 그 외 고려해야 할 점: * 도벽 및 거짓말: 무인 편의점에서 훔쳐먹거나 저금통에서 돈을 훔치는 행동은 충동 조절의 어려움이나 사회성 부족과 관련될 수 있습니다. 거짓말을 밥 먹듯이 하는 것은 불안감이나 회피 심리에서 비롯될 수도 있습니다. * 대화의 어려움: 대화 중 엉뚱한 이야기를 하거나, 과거의 일을 회상하며 화를 내는 것은 사고의 유연성이 부족하거나 감정 조절에 어려움을 겪는 것을 의미할 수 있습니다. 예시: * ADHD 아이는 "숙제 다 했니?"라는 질문에 갑자기 "어제 TV에서 본 공룡이 숙제를 먹어버렸어!"와 같이 엉뚱한 대답을 할 수 있습니다. * ASD 아이는 친구가 "같이 놀자"라고 했을 때, "응"이라고 대답하지만 실제로 어떻게 놀아야 할지 몰라 주변을 맴돌 수 있습니다. 다음 단계: 1. 병원 방문: 소아정신과 또는 발달클리닉을 방문하여 전문적인 평가를 받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2. 관찰 기록: 아이의 행동을 자세히 관찰하고 기록해두면 진단에 도움이 됩니다. 3. 부모 교육: 전문가와 상담하여 아이의 특성에 맞는 양육 방법을 배우는 것이 필요합니다. 아이의 행동에 대해 너무 자책하지 마시고,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아이가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