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2025-07-04 09:30:26

7개월아기 목에 수포 같은 게 생겼는데 터쳐야 할까요?

목 뒤에 생겼고 괜히 터치면 주변으로 옮을까봐 우선 두긴 했는데 병원 가보는 게 좋을까요?

육안으로 봤을 때 어떤 증상인지 알려주셨으면 합니다.

A
Dr.s Diagnosis
안녕하세요. 사진과 함께 상세한 내용을 보내주셔서 감사합니다. 7개월 아기 목에 생긴 수포에 대해 걱정이 많으실 텐데요, 사진과 설명을 바탕으로 몇 가지 가능성을 말씀드리고,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 알려드리겠습니다. 1. 수포의 সম্ভাব্য 원인: * 땀띠 (한진): 아기들은 땀샘이 덜 발달되어 땀 배출이 원활하지 않아 땀띠가 자주 생깁니다. 특히 목은 접히는 부위라 땀이 쉽게 차고, 붉은 수포나 작은 물집 형태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예시: 더운 날씨에 얇은 옷을 입히고 시원하게 해 주세요. * 알레르기성 피부염 (습진): 특정 물질에 대한 알레르기 반응으로 피부에 염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이는 음식, 옷감, 세제, 로션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가려움증을 동반한 붉은 반점, 수포, 진물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예시: 아기가 사용하는 세제나 로션을 무향, 저자극성 제품으로 바꾸어 보세요. * 전염성 농가진: 세균 감염으로 인해 발생하는 피부 질환입니다. 주로 얼굴, 목, 손 등에 잘 생기며, 물집이 터지면서 진물이 나오고 딱지가 생기는 것이 특징입니다. 전염성이 매우 강하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 예시: 다른 부위로 번지지 않도록 손을 깨끗하게 유지하고, 수건 등을 따로 사용하세요. * 물사마귀: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발생하는 피부 질환입니다. 작고 둥근 모양의 구진이 솟아오르며, 표면이 매끄럽고 가운데가 약간 함몰된 형태를 보입니다. 전염성이 있어 다른 부위나 다른 사람에게 옮을 수 있습니다. * 예시: 수포를 긁거나 만지지 않도록 주의하고, 개인위생을 철저히 하세요. 2. 육안으로 보이는 증상에 따른 추가 확인 사항: * 수포의 색깔: 붉은색, 흰색, 투명한 색 등 수포의 색깔을 확인해 주세요. * 수포 주변의 피부 상태: 수포 주변이 붉게 부어올랐는지, 열감이 있는지 확인해 주세요. * 아기의 동반 증상: 가려워하는지, 열이 나는지, 다른 부위에도 수포가 있는지 확인해 주세요. * 수포 발생 시점: 언제부터 수포가 생겼는지, 점점 커지는지, 갯수가 늘어나는지 확인해 주세요. 3. 터쳐야 할까요? 수포를 임의로 터뜨리는 것은 감염의 위험을 높이고 흉터를 남길 수 있으므로 절대로 하지 않아야 합니다. 자연적으로 터지더라도 깨끗한 거즈로 닦아내고, 항생 연고를 바르는 것이 좋습니다. 4. 병원 방문 여부: 사진만으로는 정확한 진단을 내리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반드시 병원에 방문하여 전문의의 진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 수포가 빠르게 번지거나 갯수가 늘어나는 경우 * 수포 주변이 붉게 부어오르고 열감이 있는 경우 * 아기가 심하게 가려워하거나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 * 수포 외에 발열, 설사, 구토 등 다른 증상이 동반되는 경우 * 수포가 2주 이상 지속되는 경우 5. 집에서 할 수 있는 관리: 병원 방문 전까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아기를 편안하게 해 줄 수 있습니다. * 시원하게 유지: 아기가 땀을 많이 흘리지 않도록 시원하게 해 주세요. * 깨끗하게 유지: 수포 부위를 깨끗한 물로 부드럽게 씻어주고, 물기를 완전히 말려주세요. * 자극 피하기: 수포 부위를 긁거나 자극하지 않도록 주의해 주세요. * 보습: 목욕 후에는 저자극 보습제를 발라주어 피부를 촉촉하게 유지해 주세요. * 옷: 헐렁하고 통풍이 잘 되는 면 소재의 옷을 입혀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