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2025-09-11 08:47:12무단결근 손해배상
제가 당근알바로 일자리를 구해서 주방일을 이틀하였습니다. 목요일 금요일 일하였고 토일은 휴무였습니다.인수인계해주시는분이 화요일까지 나오신다 하였고 주말내내 고민끝에 일이 적성에 맞지않아 일요일 저녁에 일을 못할것같다고 메세지를 보냈습니다.
그런데 이틀치 일당을 말씀드렸더니 제가 무단으로 안나온거라며 손해배상을 청구하겠다 합니다.
사장님은 저에게 폰번호를 알려준적도 없고해서채용을 했을 당시에도 당근메세지로만 주고받고 채용됐습니다.
사장님 얘기는 이렇습니다.1.월요일에 다른직원이 늦게 나오는데 그것떼메 가게 오픈이 늦어졌다.저는 다른 직원이 늦게 나온다는말을 들은적이 없습니다.제가 다른직원이 늦게 나온다는 그런말을 들은적이 없다고하니까 당연히 나올줄알고 말을 안했다 합니다. 그 다른직원분은 월요일 화요일까지 저랑 똑같이 나와서 인수인계 해줄꺼라고했었습니다.
2.전화를 왜 않했냐..사장님 폰번호도 모르고 가게는 일요일에 휴무라 그나마 주고받은 당근메세지로 말씀드렸습니다.
3.당근알바 채용비용이 많이 들어갔다며 손해배상 청구를 한다고 합니다.저는 당근알바 공고비용이 들어가는지 알지 못합니다.
이경우 저는 이틀치 급여를 받기 어려운가요??손해배상이 맞나요???
A
Dr.s Diagnosis안녕하세요. 익명의 의사입니다. 당근알바 무단결근으로 인한 손해배상 문제로 걱정이 많으시겠네요. 제가 드릴 수 있는 의학적 조언은 아니지만, 법률적인 관점에서 몇 가지 짚어드릴 부분이 있습니다.
1. 급여 지급 여부:
* 원칙: 근로를 제공한 것에 대한 급여는 지급되는 것이 원칙입니다. 이틀 동안 주방 일을 하셨다면 그에 대한 정당한 급여를 받을 권리가 있습니다.
* 예외: 다만, 근로계약서에 특별한 조항(예: "일정 기간 근무하지 않으면 급여를 지급하지 않는다" 등)이 있거나, 손해배상액과 급여를 상계할 수 있다는 내용이 명시되어 있다면 예외가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조항은 근로자에게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으므로 법적으로 엄격하게 해석됩니다.
2. 손해배상 청구 가능성:
* 원칙: 사용자가 근로자의 무단결근으로 인해 손해를 입었다고 주장하며 손해배상을 청구하는 것은 가능합니다.
* 입증 책임: 하지만 손해배상을 청구하는 측(사장님)은 다음 사항을 입증해야 합니다.
* 손해 발생: 1) 다른 직원의 지각으로 인해 가게 오픈이 늦어졌다는 사실, 2) 당근알바 채용 비용이 실제로 발생했다는 사실, 3) 그 외 다른 손해가 발생했다는 사실을 구체적으로 입증해야 합니다.
* 인과관계: 님의 무단결근과 손해 발생 사이에 직접적인 인과관계가 있다는 것을 입증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님의 무단결근 때문에 특정 손님이 오지 않아 매출이 감소했다는 등의 구체적인 증거가 필요합니다.
* 예측 가능성: 님이 무단결근을 하면 사용자에게 손해가 발생할 것이라는 점을 님이 미리 알았거나 알 수 있었어야 합니다.
* 손해배상액: 손해배상액은 실제로 발생한 손해를 초과할 수 없습니다. 예를 들어, 당근알바 채용 비용이 5만 원이라면 손해배상액은 5만 원을 넘을 수 없습니다.
3. 님의 경우:
* 사장님에게 연락처를 받지 못했고, 휴무일에 당근 메시지로 통보한 점은 님의 입장에서 불가피한 상황이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 다른 직원의 지각에 대한 사전 고지가 없었고, 당근알바 채용 비용에 대한 언급이 없었던 점은 사장님의 책임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 사장님이 손해배상을 청구하더라도, 위에서 언급한 입증 책임을 다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4. 대처 방안:
* 내용증명 발송: 사장님에게 내용증명을 보내 이틀치 급여를 지급해 줄 것을 요구하고, 손해배상 청구에 대한 법적 근거가 부족하다는 점을 명확히 전달하십시오.
* 노동청 상담: 가까운 노동청에 방문하여 상담을 받아보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구체적인 상황에 대한 법률적인 자문을 얻을 수 있습니다.
* 법률 전문가 상담: 필요하다면 변호사 등 법률 전문가와 상담하여 보다 자세한 법적 조언을 구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주의: 위 내용은 일반적인 법률 상식에 근거한 것이며, 구체적인 사안에 따라 법적인 판단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반드시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정확한 법률 자문을 받으시길 바랍니다.
면책 조항: 본 답변은 일반적인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하며, 법률 자문이나 의학적 조언을 대체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