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2025-09-10 00:10:51

월세 가계약 파기

지금 사는 집보다 좋은곳을 찾을려고 집을 하루종일 알아보다 마지막에 괜찬은거 같아서 보고 있는데 계약을 하실껀지 물어 봐서 고민을 할 차에 여기가 빨리 나갈수 잇다 하길래 가계약을 걸었습니다

그런데 지금 생각 해 보니 지금 사는집이 이사할 집보다 좋고 한걸 느껴서 파기를 할 생각입니다

혹시 저 한테 피해볼 께 있을까요 ?

가계약 한 금액은 포기 할 생각도 하고 있습니다

만약 법적으로 문제가 생길까요 ?

A
Dr.s Diagnosis
월세 가계약 파기에 대한 문의 주셨네요. 가계약은 정식 계약 전, 계약 의사를 확인하고 임시로 묶어두는 성격의 계약입니다. 하지만 법적으로 명확하게 정의된 개념은 아니며, 가계약 내용에 따라 법적 효력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가계약 파기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문제: 1. 가계약금 반환 문제: 가계약금을 포기하는 것으로 생각하고 계시지만, 상황에 따라 전부 또는 일부를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가계약 당시 계약 파기 시 가계약금 반환에 대한 명확한 합의가 있었다면 그에 따릅니다. 만약 합의가 없었다면, 가계약이 파기된 귀책사유가 누구에게 있는지에 따라 달라집니다. 만약 임대인(집주인) 측의 귀책사유로 파기된 경우 (예: 가계약 당시 고지하지 않았던 하자가 발견된 경우) 가계약금 전부를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단순 변심으로 인한 파기라면 가계약금을 돌려받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2. 손해배상 청구: 가계약 파기로 인해 임대인에게 손해가 발생했다면,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님이 가계약을 파기하는 바람에 다른 세입자를 구하는 데 시간이 걸려 임대료 손실이 발생했다면, 그 손해에 대한 배상을 요구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실제로 손해배상 책임을 져야 하는 경우는 드물며, 손해액을 입증하는 것이 쉽지 않습니다. 3. 계약 이행 청구 소송: 극히 드문 경우지만, 임대인이 가계약 내용을 근거로 계약 이행을 청구하는 소송을 제기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가계약은 통상적으로 계약의 중요 내용 (예: 임대차 기간, 보증금, 월세 등)이 명확하게 정해지지 않은 경우가 많아, 소송에서 승소하기는 어렵습니다. 법적 문제 발생 가능성을 줄이기 위한 조치: 1. 가계약 내용 확인: 가계약 당시 작성한 내용 (문자 메시지, 녹음 파일 등)을 다시 확인하여, 계약 파기 시 가계약금 반환에 대한 합의가 있었는지 확인합니다. 2. 임대인과 협의: 임대인에게 가계약 파기 의사를 정중하게 전달하고, 가계약금 반환 문제에 대해 원만하게 협의합니다. 손해배상 문제에 대해서도 솔직하게 이야기하고, 가능한 한 합의점을 찾는 것이 좋습니다. 3. 법률 전문가 상담: 만약 임대인과의 협의가 원만하게 이루어지지 않거나, 법적 분쟁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면, 변호사 등 법률 전문가와 상담하여 정확한 법률 자문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대한법률구조공단(국번 없이 132)을 통해 무료 법률 상담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가계약 파기로 인해 법적인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은 있지만, 가계약 내용과 상황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가계약금을 포기하는 것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도 있지만, 임대인과 협의하거나 법률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더 나은 선택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