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2025-09-30 05:09:43

부신호르몬 검사

2-3주 뒤에 부신호르몬 검사(아침 공복 피검사, 소변검사)한다고 했는데 일단 여성호르몬이 부족하다고 피임약 처방을 받았어요. 근데 피임약 먹으면 호르몬에 변화가 생겨 부신호르몬 수치에도 영향이 가는거 아닌가요? 괜히 약 때문에 수치가 변해 부정확한 검사 결과가 나올까 걱정됩니다. 부신호르몬은 여성호르몬과 관련이 없는건가요?

의사분들만 정확한 답변 부탁드립니다.

A
Dr.s Diagnosis
안녕하세요. 부신호르몬 검사를 앞두고 피임약 복용에 대한 걱정이 많으신 것 같습니다. 2-3주 뒤 검사 예정이시라면, 지금부터라도 피임약 복용과 검사 간의 관계에 대해 정확히 알고 대비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1. 피임약과 부신호르몬 수치: * 피임약: 피임약은 주로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과 같은 여성호르몬을 함유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호르몬들은 체내 호르몬 균형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부신호르몬: 부신에서는 코르티솔, 알도스테론, 부신 안드로겐 등의 호르몬을 생성합니다. 이 호르몬들은 스트레스 반응, 혈압 조절, 성호르몬 생성 등에 관여합니다. * 영향 관계: 여성호르몬과 부신호르몬은 서로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에스트로겐은 코르티솔 결합 단백질(CBG) 수치를 증가시켜 혈중 코르티솔 농도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또한, 일부 피임약 성분은 부신 기능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2. 검사 결과에 대한 우려: 피임약 복용이 부신호르몬 수치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검사 결과가 부정확하게 나올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조치를 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 담당 의사와의 상담: 가장 중요한 것은 담당 의사에게 피임약 복용 사실을 알리고, 검사 전 피임약 복용을 중단해야 하는지 문의하는 것입니다. 의사는 환자의 상태와 검사 목적에 따라 적절한 조치를 결정할 것입니다. * 검사 시기 조절: 가능하다면 피임약 복용을 중단한 후 일정 기간이 지난 뒤에 검사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일반적으로 약물 효과가 완전히 사라지는 데는 시간이 걸리므로, 의사와 상의하여 최적의 검사 시기를 결정하십시오. * 검사 결과 해석: 검사 결과가 나왔을 때, 반드시 담당 의사와 함께 해석해야 합니다. 피임약 복용이 결과에 미친 영향을 고려하여 정확한 진단을 받아야 합니다. 3. 여성호르몬과 부신호르몬의 관계: 부신은 안드로겐(남성호르몬)을 생성하는데, 이는 여성의 경우 여성호르몬으로 전환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부신 기능 이상은 여성호르몬 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예시: * 다낭성 난소 증후군 (PCOS): PCOS 환자들은 부신에서 과도한 안드로겐이 생성되어 여성호르몬 불균형을 겪을 수 있습니다. * 선천성 부신 과형성: 이 질환은 부신에서 코르티솔 생성이 부족하고 안드로겐 생성이 과도해져 여성에게 남성화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결론: 피임약 복용은 부신호르몬 수치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검사 전 담당 의사에게 반드시 알려야 합니다. 의사와 상의하여 검사 시기를 조절하거나, 검사 결과 해석 시 피임약 복용 영향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