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2025-10-08 07:01:57이런경우에도 임금을 제대로 받을수있나요?.?
2025년3월부터 9월중순까지 친척이하는 식당에서 일을하였습니다 근무시간은 05시~21~22시까지 근무를 하였고 임금은 세후 270정도 받았습니다 근무한거에 비해 너무 적은 금액을 받아 이 문제에대해서도 제대로된 임금을 정산하여 다시 받을수있는지 질문합니다
근로계약서는 안썻고 전부 구두로 얘기가 되었습니다
A
Dr.s Diagnosis안녕하세요. 친척 식당에서 근무하신 임금 문제로 문의주셨네요. 안타깝게도 근로계약서를 작성하지 않은 상황이지만, 몇 가지 사항을 확인하여 도움을 드릴 수 있습니다.
1. 근로자성 인정 여부 확인:
* 출퇴근 기록: 출퇴근 시간 기록 (메모, 문자, CCTV 등)이 있다면 근로자임을 입증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업무 지시: 구체적인 업무 지시를 받았거나, 식당 운영에 필수적인 역할을 수행했다면 근로자로 인정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 급여 지급 내역: 급여를 받은 통장 내역은 고용 관계를 증명하는 중요한 자료가 됩니다.
* 다른 직원 증언: 함께 일한 다른 직원이 있다면, 그들의 증언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2. 미지급 임금 계산:
* 최저임금: 2025년 최저임금을 기준으로 미지급된 임금을 계산해 보세요.
* 주휴수당: 주 15시간 이상 근무했다면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연장/야간/휴일 근로수당: 하루 8시간, 주 40시간을 초과하는 근무, 밤 10시부터 아침 6시 사이의 야간 근무, 휴일 근무에 대해서는 추가 수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예시: 만약 하루 16시간 근무했다면, 8시간 초과분에 대해서는 연장근로수당 (통상임금의 1.5배)을 받아야 합니다.
3. 해결 방법:
* 친척과의 대화: 우선 친척분과 솔직하게 대화하여 오해를 풀고 합의를 시도해 보세요.
* 노동청 진정: 대화로 해결되지 않으면, 노동청에 임금체불 진정을 제기할 수 있습니다. 증거 자료 (출퇴근 기록, 급여 내역 등)를 함께 제출하면 도움이 됩니다.
* 법률 전문가 상담: 필요하다면 변호사, 노무사 등 법률 전문가와 상담하여 법적인 조언을 구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주의사항:
* 임금채권 소멸시효는 3년입니다. 가능한 한 빨리 조치를 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 친척 관계임을 감안하여 감정적으로 대응하기보다는 객관적인 자료를 바탕으로 차분하게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추가적으로 필요한 정보:
* 정확한 근무 기간 (날짜)
* 하루 평균 근무 시간
* 주당 근무 일수
* 식당에서 제공받은 식사나 숙소 유무
위 정보들을 알려주시면 더 정확한 답변을 드릴 수 있습니다. 힘든 상황이시겠지만, 포기하지 마시고 적극적으로 문제를 해결해 나가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