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2025-06-15 07:52:03크라운에 대하여
요즘 스캐너로 본을 뜬다고 하던데 스캐너로 본뜰때 스캐너가 쇠같은게 무거운게 치아위에 구르는듯 닿는 느낌이 나는것인가요?신경치료 첫날 그런물체가 치아위에서 구르듯이 하던데 그게 뭔가 궁금해서 질문입니다.
A
Dr.s Diagnosis안녕하세요. 크라운 치료에 대한 궁금증이 있으시군요. 스캐너를 이용한 치아 본뜨기 과정과 신경치료 첫날의 경험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 드릴게요.
1. 스캐너를 이용한 치아 본뜨기
최근에는 스캐너를 이용하여 치아 본을 뜨는 경우가 많습니다. 스캐너는 입 안을 3차원으로 촬영하여 디지털 데이터를 얻는 장비입니다. 이 데이터를 바탕으로 크라운을 제작하기 때문에, 기존의 인상재(본뜨는 재료)를 사용하는 방식보다 더 정확하고 편안하게 본을 뜰 수 있습니다.
* 스캐너의 종류: 구강 스캐너는 크게 두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 광학 스캐너: 빛을 이용하여 치아 표면을 스캔합니다. 치아에 직접 닿지 않거나, 가벼운 터치만 있을 수 있습니다.
* 접촉식 스캐너: 작은 탐침이 치아 표면을 따라 움직이며 데이터를 수집합니다. 이 경우, 치아에 닿는 느낌이 있을 수 있습니다.
* 스캔 과정: 스캔 과정에서 스캐너 헤드가 치아 위를 지나가면서 데이터를 수집합니다. 광학 스캐너의 경우, 치아에 직접 닿지 않지만, 접촉식 스캐너의 경우, 탐침이 치아 표면을 따라 움직이면서 약간의 압력이나 구르는 듯한 느낌을 줄 수 있습니다.
2. 신경치료 첫날의 경험
신경치료 첫날, 치아 위에서 쇠 같은 물체가 구르는 듯한 느낌을 받으셨다면, 다음과 같은 가능성이 있습니다.
* 러버댐 클램프: 신경치료 시에는 감염을 막기 위해 러버댐이라는 고무 격리막을 설치합니다. 이 러버댐을 고정하기 위해 클램프라는 금속 고리를 치아에 장착하는데, 이 클램프가 치아 위에서 움직이면서 구르는 듯한 느낌을 줄 수 있습니다.
* 탐침: 신경관의 위치를 찾거나, 신경관 내부를 청소하기 위해 다양한 탐침을 사용합니다. 이러한 탐침이 치아 내부나 신경관 입구를 찾기 위해 움직이면서 비슷한 느낌을 줄 수 있습니다.
* 엔도 파일: 신경관 내부를 청소하고 확대하는 데 사용하는 기구입니다. 엔도 파일이 신경관 내부를 회전하면서 치료 부위에 진동이나 압력을 가할 수 있습니다.
정확한 확인을 위해:
어떤 기구가 사용되었는지 정확히 알기 위해서는 치료를 받으신 치과에 문의하시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치과에서는 어떤 기구를 사용했고, 어떤 과정을 거쳤는지 자세히 설명해 주실 수 있을 것입니다.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지 다시 질문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