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2025-07-28 08:00:03

부동산중개인의 뒷거래가 의심됩니다.

부동산중개인의 뒷거래가 의심됩니다. 어떻게 해야 할까요?

오랫동안 보유했던 서울 아파트를 내놨습니다.매도인(본인) 생각으로는 8억 정도 받고 싶지만, 중개인 왈, "요즘 시세는 대략 7억 입니다"라고 하여 그렇게 내놓으라고 말했습니다.

나중에 보니까, 인터넷에 저희 집으로 추정되는 매물이 7.5억에 올라와 있어서 중개인에게 문의했더니, 맞다고 합니다.

이하 대화체로 올리겠습니다.

매도인 : 7억이 시세라면서 왜 7.5억에 내놓으셨나요?중개인 : 매수인은 깍으려 합니다. 그래서 5천만원 더 올려 놓은 겁니다.매도인 : 네 알겠습니다.


  • 몇 일 후 ----

  • 중개인 : 7억에 매수하겠다는 매수자가 나타났습니다. 계약할까요?매도인 : 네, 알겠습니다. (아쉬운 마음에) 그런데 7.5억 매수인은 없을까요?중개인 : 만일 매수인이 7.3억에 매수하겠다고 하시면 차익 3000만원은 어떻게 하실래요?매도인 : 그렇게만 해주시면 50% 중개인과 나누겠습니다.중개인 : 사실 7.3억에 거래하기로 했습니다. 분명히 제게 중개수수료 이외에 추가로 1500만원 더 주셔야 합니다.매도인 : 네... 알겠습니다.(찜찜...)

질문1. 중개인이 매수인에게 똑 같이 2천만원 정도 구라를 쳐서 나눠먹기를 했는지 의심이 감. 즉, 계약은 7.3억으로 (내놓은 7.5억보다) 2천만원 싸게 진행해 주고 대신 뒷돈 1천만원을 매수인에게서 받기로 했는지 강한 의심이 듦

  1. 뒷돈을 약속하긴 했지만, 처음에 7억이라고 거짓 얘기 후, 말을 바꿔 7.3억이라고 말하면서 차익50%를 요구한 행위가 괴씸함.만일 매도인이 안물어보고 그냥 7억에 OK했으면 그 만큼을 다시 매수인과 짬짜미 했을 소지가 다분함.

  2. 이 중개인을 처벌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A
Dr.s Diagnosis
안녕하세요. 부동산 거래 관련 문의 주셨네요. 겪으신 상황에 대해 안타까운 마음입니다. 말씀하신 내용을 바탕으로 몇 가지 짚어보고, 가능한 조치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1. 상황 분석 * 시세 정보의 불일치: 중개인이 처음 제시한 시세(7억)와 실제 매물 등록 가격(7.5억)이 다르고, 7.3억 매수 제안 시 차액 분배를 요구한 점은 중개인의 정보 제공에 투명성이 부족했음을 시사합니다. * 이해 상충: 중개인은 매도인(의뢰인)의 이익을 최우선으로 해야 하지만, 정황상 매수인과의 뒷거래를 통해 자신의 이익을 취하려 한 것으로 의심됩니다. 이는 명백한 이해 상충 행위입니다. * 구두 약속의 문제점: 차액 분배에 대한 구두 약속은 추후 분쟁 발생 시 입증이 어렵습니다. 2. 법적/행정적 조치 가능성 * 부동산중개법 위반: 중개인의 행위는 부동산중개법 위반에 해당할 수 있습니다. * 허위 매물 광고: 실제 매도 희망 가격과 다른 가격으로 광고한 경우. * 부당한 중개 수수료 요구: 법정 중개 수수료 외 추가 금전을 요구한 경우. *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재산상 손해: 시세 정보 미제공, 뒷거래 시도 등으로 의뢰인에게 손해를 발생시킨 경우. * 형사 고소: 사기, 업무상 배임 등의 혐의로 형사 고소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다만, 혐의 입증이 쉽지 않으므로 법률 전문가와 상담 후 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 민사 소송: 중개인의 불법 행위로 인해 발생한 손해에 대한 배상을 청구하는 민사 소송을 제기할 수 있습니다. 3. 증거 확보 및 대응 전략 * 증거 수집: 중개인과의 통화 녹음, 문자 메시지, 매물 광고 화면 캡처 등 관련 자료를 최대한 확보하십시오. * 내용증명 발송: 중개인에게 문제점을 지적하고, 부당하게 요구한 금전 반환 및 손해배상을 요구하는 내용증명을 발송하십시오. * 공인중개사협회 민원 제기: 해당 중개인이 소속된 공인중개사협회에 민원을 제기하여 중재를 요청하거나 징계를 요구할 수 있습니다. * 법률 전문가 상담: 변호사, 법무사 등 법률 전문가와 상담하여 구체적인 법적 조치 및 대응 전략을 수립하십시오. * 부동산 거래 시 주의사항: * 계약 전 시세를 꼼꼼히 확인하고, 주변 부동산에 문의하여 정보를 교차 검증합니다. * 중개인에게 시세 정보의 근거를 명확히 요구합니다. * 계약서 작성 시 특약 사항에 "중개인의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손해 발생 시 배상 책임" 조항을 명시합니다. 4. 추가 조언 * 감정평가: 객관적인 시세 확인을 위해 감정평가를 받아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 변호사 선임: 상황이 복잡하고 법적 대응을 고려하신다면 변호사 선임을 통해 전문적인 도움을 받으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 심리적 안정: 부당한 일을 겪으신 만큼 심리적으로 힘드실 수 있습니다. 주변 사람들과 대화하며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필요하다면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도 고려해 보세요. 부디 잘 해결되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