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2025-05-26 13:32:28뇌의 문제와 연동되는 두 가지 질문
뇌의 문제와 연동되는 두가지 문제가 하루 동안 발생해 염려하다 질문 드립니다. 하나는 제가 역한 냄새가 나서 10~20여초간 숨을 참으며 이동하다가 숨을 쉬었는데 갑자기 머리가 아프고, 육체 전신이 힘이드는 일이 발생했습니다.몇분 뒤에 뒤에 정상화 되었는데요. 종종 역한 냄새를 피하려고 숨을 참은 적이 있는데, 힘든 적은 처음이었습니다.
또하나는 지하철 퇴근길 밀려드는 사람들 때문 때문에 앞뒤로 눌리는 상황이 있었는데요. 답답은 했지만 별 문제는 없었습니다. 그런데 지하철 환승하고 1~2 정거장을 더 가다가 정차 시간에 갑자기 힘이 빠지더라고요. 순간적으로 1~2초간 힘이 빠졌습니다. 두 일이 하루 동안 벌어져 걱정이 좀 되는데, 뇌와 관련된 검사나 치료가 필요할까요?
A
Dr.s Diagnosis걱정되시는 마음 충분히 이해합니다. 하루 동안 두 가지 불편한 증상이 연달아 나타나셨으니 더욱 그러실 것 같습니다. 뇌와 관련된 문제일까 염려하시는 부분에 대해, 몇 가지 가능성을 살펴보고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 자세히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첫 번째 증상: 숨 참기 후 두통 및 전신 무력감
* 가능성:
* 뇌 혈류 부족: 숨을 참으면 체내 산소 농도가 낮아지고, 뇌로 가는 혈류량이 일시적으로 감소할 수 있습니다. 특히, 평소 혈관 건강이 좋지 않거나 저혈압이 있는 경우, 이러한 증상이 나타날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 미주신경 반사: 역한 냄새로 인해 미주신경이 과도하게 자극되어 일시적인 혈압 저하 및 심박수 감소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뇌로 가는 혈류량이 줄어들어 어지럼증, 두통, 무력감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과호흡: 숨을 참은 후 갑자기 숨을 쉬면서 과호흡이 발생했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과호흡은 혈중 이산화탄소 농도를 낮추어 혈관을 수축시키고, 뇌 혈류 감소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 예시: 마치 높은 산에 올라갔을 때 산소가 부족해 머리가 아프고 어지러운 것과 비슷한 상황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두 번째 증상: 지하철 환승 후 순간적인 무력감
* 가능성:
* 미주신경성 실신: 지하철 내 혼잡한 상황으로 인해 스트레스와 불안감이 증가하고, 미주신경이 자극되어 일시적인 혈압 저하 및 심박수 감소가 발생했을 수 있습니다. 이는 뇌로 가는 혈류량을 감소시켜 순간적인 무력감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탈수: 지하철 내 더운 환경과 많은 사람들로 인해 땀을 많이 흘려 탈수가 발생했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탈수는 혈액량 감소로 이어져 뇌 혈류를 감소시키고, 무력감, 어지럼증 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기립성 저혈압: 앉아 있다가 갑자기 일어설 때 혈압이 일시적으로 낮아져 뇌로 가는 혈류량이 감소하면서 어지럼증이나 무력감을 느끼는 경우가 있습니다. 지하철 환승 후 갑자기 서 있거나 움직이면서 이러한 증상이 나타났을 수 있습니다.
* 예시: 장시간 서 있다가 갑자기 일어설 때 핑 도는 느낌과 비슷하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대처 방법 및 추가 검사 필요성
1. 생활 습관 개선:
* 규칙적인 식사: 혈당이 급격하게 떨어지지 않도록 규칙적인 식사를 하고, 균형 잡힌 영양 섭취를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충분한 수분 섭취: 하루 1.5~2리터의 물을 꾸준히 마셔 탈수를 예방합니다.
* 규칙적인 운동: 꾸준한 유산소 운동은 혈액 순환을 개선하고 혈관 건강을 증진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스트레스 관리: 스트레스는 혈압을 상승시키고 혈관을 수축시킬 수 있으므로, 자신만의 스트레스 해소법을 찾아 꾸준히 실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증상 발생 시 대처:
* 첫 번째 증상: 역한 냄새를 맡았을 때 억지로 숨을 참기보다는 마스크를 착용하거나 환기가 잘 되는 곳으로 이동하는 것이 좋습니다.
* 두 번째 증상: 지하철에서 갑자기 힘이 빠지는 느낌이 들면 즉시 자리에 앉거나 벽에 기대어 넘어지지 않도록 주의하고, 심호흡을 하면서 안정을 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3. 병원 방문 및 검사:
* 증상 재발 시: 위에서 언급한 증상들이 반복적으로 나타나거나, 증상이 더욱 심해지는 경우에는 반드시 병원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 필요한 검사: 의사는 환자의 증상과 병력을 바탕으로 뇌 MRI, 뇌파 검사, 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