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2025-09-15 08:44:14

빌라 관리비 사용범위 질문

간단하게 말하자면

새로 이사온 6층 주민의 세탁기의 오염수가 공용 배관을 타고 2층인 저희 집 싱크대로 역류해

온집안에 물바다가 된 사건으로 다음날 바닥 장판을 전부 뜯어내야하는 바닥들뜸 현상이 생겨버렸습니다 (6층에서 세탁기 배관을 잘못 연결 했음을 확인)

그래서 6층 주민과 저는 굉장히 곤란한 상황인데요..

인테리어 견적으로 800만원 돈이 나왔는데 이게 보험으로 전액이 보장이 되는지 모르겠네요

여기서 궁금한 점 몇가지

  1. 빌라 관리비로 저 인테리어의 일부 금액이 지원이 되는지? (동대표는 법을 들이밀며 개인이 지불해야하며 관리비로의 지출을 거부함)

  2. 2. 하자보수로 인한 것으로 볼 수 있는지?( 공용배관에서 역류했으니..) 빌라는 10년정도 됐습니다

  3. 3. 이러한 경우에는 어디서 어떤 도움을 받을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pzp.pzp-pc--c2003015-f1e5-413a-9840-e7e7cbb4d763 .pzp-pc__brand-playback-button { width: 102px; height: 102px; } .pzp.pzp-pc--c2003015-f1e5-413a-9840-e7e7cbb4d763 .pzp-pc__brand-playback-button .pzp-ui-icon { width: 102px; height: 102px; } .pzp-pc--c2003015-f1e5-413a-9840-e7e7cbb4d763.pzp-pc--filter .webplayer-internal-video { filter: url(#pzp-filter--c2003015-f1e5-413a-9840-e7e7cbb4d763); } 0초 0초 .pzp .pzp-poster--c2003015-f1e5-413a-9840-e7e7cbb4d763.pzp-poster--loaded {background-image: url("https://phinf.pstatic.net/image.nmv/kin_2025_09_09_1870/Dm2rbUNPA1_01.jpg");background-size: contain;background-position: center;background-repeat: no-repeat;} 광고 후 계속됩니다. 다음 동영상 subject author 취소 빌라 관리비 사용범위 질문 재생 2 재생 (space/k) 재생 00:11 0:00:00 재생 (space/k) 재생 음소거 (m) 음소거 00:00 / 00:11 실시간 설정 전체 화면 (f) 해상도 720p HD 자막 사용 안함 재생 속도 1.0x (기본) 인기 구간 표시 해상도 자동 1080p HD 720p HD 480p 270p 자막 설정 사용 안함 옵션 글자 크기 배경색 재생 속도 0.5x 1.0x (기본) 1.5x 2.0x 죄송합니다.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다시 시도해 주세요. 도움말 음소거 상태입니다. 도움말 라이선스 고화질 재생이 가능한 영상입니다.

  4. 설정에서 해상도를 변경해보세요. 더 알아보기 00:00

A
Dr.s Diagnosis
안녕하세요. 누수로 인해 피해를 입으신 상황에 대해 문의주셨네요. 안타까운 마음입니다. 몇 가지 질문에 대해 자세히 답변드리겠습니다. 1. 빌라 관리비로 인테리어 비용 지원 가능성 원칙적으로는 개인 과실로 인한 피해 복구는 개인 부담이 맞습니다. 하지만, 공용 배관의 문제로 인한 누수라면 관리비에서 일부 지원을 받을 수 있는 가능성이 있습니다. * 사례: 오래된 아파트에서 공용 배관 노후로 인해 누수가 발생, 입주민의 가구와 벽지가 손상된 경우, 아파트 관리비에서 수리비 일부를 지원한 사례가 있습니다. * 확인사항: * 관리 규약 확인: 빌라 관리 규약에 누수 관련 조항이 있는지 확인해 보세요. * 동대표 협의: 동대표와 다시 한번 협의하여 관리비 지원 가능성을 논의해 보세요. 이때, 공용 배관 문제로 인한 누수라는 점을 강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하자보수로 인한 것으로 볼 수 있는지 10년 된 빌라의 공용 배관에서 발생한 누수라면 하자보수 책임 기간이 지났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하지만, 다음과 같은 경우 하자보수를 요구할 수 있습니다. * 중대한 하자: 건물의 구조나 안전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는 하자는 하자보수 기간이 경과했더라도 보수를 요구할 수 있습니다. (예: 건물의 균열, 누수 등) * 입증 책임: 누수가 건물의 하자 때문에 발생했다는 것을 입증해야 합니다. * 전문가 도움: 건축 관련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하자 여부를 판단하고, 하자보수 요구 가능성을 검토해 보세요. 3.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곳 * 보험: * 일상생활 배상책임보험: 6층 주민의 보험으로 배상받을 수 있는지 확인해 보세요. * 화재보험(누수 관련 특약): 본인 화재보험에 누수 관련 특약이 있는지 확인해 보세요. * 법률 전문가: * 변호사 상담: 법률 전문가와 상담하여 법적 책임 소재 및 보상 가능성을 문의해 보세요. * 대한법률구조공단: 경제적 어려움이 있다면 대한법률구조공단의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 분쟁 조정: * 공동주택분쟁조정위원회: 공동주택관리 분쟁 해결을 위해 공동주택분쟁조정위원회의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추가 조언 * 증거 확보: 누수 피해 사진, 견적서, 관련 서류 등을 꼼꼼히 챙겨두세요. * 기록 유지: 6층 주민, 동대표와의 대화 내용 등을 기록해두세요. * 객관적인 태도 유지: 감정적으로 대응하기보다는 객관적인 자료를 바탕으로 차분하게 문제를 해결해 나가세요. 부디 원만하게 해결되기를 바랍니다.